기능주의이론, 시민권론, 음모이론, 엘리트이론
1. (구조)기능주의이론(functionaLism theory) - 전후 사회를 지배해 온 대표적 이론, 사회체계의 요소 간 상호의존관계를 제도적 측면에서 분석 - 파슨스(Parsons) : 사회는 여러 부분으로 구성, 각 부분은 일정 기능을 수행하면서 조화를 이루고 순기능적 관계를 이루고 있음. 국가의 복지제도를 포함한 사회제도들은 기능적 필요에 의해 진회된 것으로 봄 - 국가의 복지제도의 주된기능 “통합‘임 - 사회의 생존을 위한 4가지 기능적 필수요건 : 적응, 목표달성, 통합, 패턴유지 ① 적응은 경제적 과업, 목표달성은 정치적 과업, 통합은 화합과 결속, 패턴유지는 기본적 가치와 귀감의 지속과 관계됨 ② 사회복지제도는 통합적 하위체계에 속하며, 통합은 사회체계를 응집시키고, 구성 부분간의 관계를..
정책 분석틀의 유형
1. 사회복지정책 연구에 관한 정치적 관점 - 사회복지를 둘러싼 논쟁은 바람직한 사회란 무엇인가, 그 사회속에서 정부의 역할은 무엇인가에 관해 개인적 가치, 집단적 가치의 대립이 진행됨 - 개인주의적 관점 Vs 집합주의적 관점 개인주의적 관점 집합주의적 관점 정치 이데올로기 보수적 진보적 사회문제에 관한 입장 문제는 잘못된 선택, 개인적 역기능, 빈곤문화에 기인함 근본적인 사회경제적 환경, 접근 저해 요인, 기회의 부족에서 비롯 시장에 관한 입장 통제받지 않는 시장, 사유재산이 번영과 복지를 보장 시장은 위험한 경기순환, 실업, 도시황폐화, 빈곤, 불평등, 환경파괴 초래 정부의 책임 잔여적 관점, 작은 정부 제도적 관점, 사회공동체를 위해 정부는 충분히 커야 함 사회정책 아젠다 시장, 자원봉사, 종교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