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슈

(21)
소록도 사람들의 삶과 교육, 그리고 인권 “소록도 사람들의 삶과 교육, 그리고 인권” - 국립소록도병원 한센병박물관 순회전시 개최 - □ 국립소록도병원(원장직무대리 오동찬) 한센병박물관은 9월 30일(금)부터 11월 27일(일)까지 전남 동부권 협력박물관(고흥분청문화박물관과 국립 순천대학교박물관)에서 “소록도 사람들의 삶과 교육, 그리고 인권”을 주제로 순회전시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본 순회전시는 국립소록도병원 한센병박물관(이하 소록도박물관)이 소장한 대표유물을 외부에 전시하여 한센병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장기휴관*으로 인한 전시 공백을 해소하고자 기획되었다. * 코로나19 이후, 소록도박물관은 고령(평균연령 78세)에 기저질환이 있는 입원 한센인의 안전을 위해 2020년 2월 3일부터 현재까지 휴관 중 * 휴관 3년 차에 접어든 소록도박물..
"주민조직화"란 용어에 대하여 사회복지 용어에 대한 공감가는 부분을 발췌하였습니다. 구체적인 제안 배경과 목적에 관하여서는 아래 링크에서 자료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www.smw.or.kr/bbs/board.php?bo_table=m08_06&wr_id=6 □ "주민조직화"란 용어에 대하여 1. 복지현장의 활용 사회복지학계에서 말하는 ‘주민조직화(사업)’의 핵심적인 내용은 주민조직 운영과 지역사회운동을 통한 지역문제의 해결이다. 즉, 주민조직화(사업)는 특정한 지역의 주민들이 스스로를 조직하여 정의를 실현하고 이를 통해 주민들 스스로의 자치적 역량을 강화시키며, 결국 이러한 변화가 지역사회(community)를 포함한 전체 사회로 확장되는 실천과정을 의미한다(한국 도시연구소, 2001. 안기억, 2007:8에서 재인용)...
"이용자"란 용어에 대하여 사회복지 용어에 대한 공감가는 부분을 발췌하였습니다. 구체적인 제안 배경과 목적에 관하여서는 아래 링크에서 자료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www.smw.or.kr/bbs/board.php?bo_table=m08_06&wr_id=6 □ "이용자"란 용어에 대하여 1. 복지현장의 활용 현재 사회복지 현장은 다양한 이유로 ‘수혜자’와 ‘대상자’라는 용어 대신 ‘이용자’라는 용어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추세이다. 길에 걸려있는 현수막부터 홍보지까지 각종 프로그램의 ‘이용자 모집’, ‘이용자 교육’ 등의 문구를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사전적 정의를 보면 이용자라는 용어를 첫째, 단순히 사물이나 시설을 이용하는 이용자(User), 둘째, 물건을 사거나 쓰는 사람을 의미하는 소비자 (consumer), 셋째,..
"수혜자,대상자"란 용어에 대하여 사회복지 용어에 대한 공감가는 부분을 발췌하였습니다. 구체적인 제안 배경과 목적에 관하여서는 아래 링크에서 자료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www.smw.or.kr/bbs/board.php?bo_table=m08_06&wr_id=6 □ "수혜자,대상자"란 용어에 대하여 1. 복지현장의 활용 Rlchard Suaver(1983)는 사회복지 전달체계를 구성하는 2가지 요소를 ‘서비스 프로그램’과 ‘수혜자’라 정의했는데, 이 두 요소들의 상호작용이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본질이라 했다. 즉 수혜자들이 필요한 서비스를 요구하고 공급자들이 그 필요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계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고 하였다. 현재는 사회복지현장의 인식변화로 수혜자(대상자)와 제공자라는 수직적인 관계로 구분하기보다 협력관계인 ..
"성인기능교실"이란 용어에 대하여 사회복지 용어에 대한 공감가는 부분을 발췌하였습니다. 구체적인 제안 배경과 목적에 관하여서는 아래 링크에서 자료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www.smw.or.kr/bbs/board.php?bo_table=m08_06&wr_id=6 □ "성인기능교실"란 용어에 대하여 1. 복지현장의 활용 1980년~1990년대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요보호 대상자만을 위한 사회복지가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제도적인 변화를 겪으면서 사회복지사업법이 개정되었다. 사회복지가 발달하는 과정 속에서 국민들이 보다 건강하고 보람 있는 생활을 하고, 지역사회에서 충족되지 않는 욕구를 대변하기 위하여 사회교육사업이 실시되었다. ‘성인기능교실’은 사회복지사업법 시행규칙 제23조의 2, 사회복지사업법 시행규칙..
"서비스"란 용어에 대하여 사회복지 용어에 대한 공감가는 부분을 발췌하였습니다. 구체적인 제안 배경과 목적에 관하여서는 아래 링크에서 자료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www.smw.or.kr/bbs/board.php?bo_table=m08_06&wr_id=6 □ "서비스"란 용어에 대하여 1. 복지현장의 활용 광복 이후 1950년대는 전쟁 이후 전쟁고아, 피해자, 상이자, 가족 해체 등의 사회적인 문제로 인한 구호활동이 중요한 과제였으며, 외국의 원조 기관들이 들어와 수용시설 위주의 긴급 구호와 시설 보호를 주된 내용으로 수혜적인 사회복지사업이 전개되었다. 이후 1980년대 ~ 1990년대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사람들이 사회복지에 대한 욕구가 점점 다양화되고, 각종 사회 문제가 대두되면서 사회복지 수요의 범위가 커지게 되..
"발굴"이란 용어에 대하여 사회복지 용어에 대한 공감가는 부분을 발췌하였습니다. 구체적인 제안 배경과 목적에 관하여서는 아래 링크에서 자료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www.smw.or.kr/bbs/board.php?bo_table=m08_06&wr_id=6 □ "발굴"이란 용어에 대하여 1. 복지현장의 활용 포털사이트에 ‘복지’, ‘발굴’ 이라는 용어를 검색해보면, ‘겨울철 복지사각 지대 집중 발굴기간 운영’, ‘복지 사각지대 발굴 팔 걷는다.’, ‘○○구 겨울철 복지사각지대 제로 도전’, ‘겨울철 위기가구 발굴 지원’ 등 ‘발굴’과 ‘복지사각지대’, ‘위기가구’ 용어가 밀접한 관계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기존에 사회복지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발굴’은 ‘자원 발굴’의 의미로도 사용되나, 주로 ‘취약계층 발굴’, ‘..
"독거노인,홀몸노인"이란 용어에 대하여 사회복지 용어에 대한 공감가는 부분을 발췌하였습니다. 구체적인 제안 배경과 목적에 관하여서는 아래 링크에서 자료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www.smw.or.kr/bbs/board.php?bo_table=m08_06&wr_id=6 1. 복지현장의 활용 사회복지학계에서는 시대별로 독거노인에 대한 정의를 조금씩 달리해왔다. 1990년대에는 김미영(1997)이 절대 빈곤상태에 놓여있음과 동시에 기본적 욕구를 충족하지 못해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해 보호를 받아야 하는 노인 1인 독신가구라고 하였으며, 2000년대에는 송기문(2004)이 절대빈곤 상태에 있어 국민기초생활법에 의해 보호를 받아야 하는 노인 1인 독신가구로, 2010년대에는 노재철·고준기(2013)가 노년에 배우자나 자녀가 없어 부양을 받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