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3-1사회복지 정책론

기능주의이론, 시민권론, 음모이론, 엘리트이론

728x90

1.  (구조)기능주의이론(functionaLism  theory)

 

-  전후  사회를  지배해  온  대표적  이론,  사회체계의  요소  간  상호의존관계를  제도적  측면에서  분석


-  파슨스(Parsons) :  사회는  여러  부분으로  구성,  각  부분은  일정  기능을  수행하면서  조화를  이루고  순기능적  관계를  이루고  있음.  국가의  복지제도를  포함한  사회제도들은  기능적  필요에  의해  진회된  것으로  봄


-  국가의  복지제도의  주된기능  “통합‘임


-  사회의  생존을  위한  4가지  기능적  필수요건  :  적응,  목표달성,  통합,  패턴유지
①  적응은  경제적  과업,  목표달성은  정치적  과업,  통합은  화합과  결속,  패턴유지는  기본적  가치와  귀감의  지속과  관계됨
②  사회복지제도는  통합적  하위체계에  속하며,  통합은  사회체계를  응집시키고,  구성  부분간의  관계를  조화시키는  과정으로  체제통합,  사회통합으로  나뉨


-  기능주의자는 사회발전은  구조적  분화과정으로  분석함.  즉, 분화된  복잡한  사회구조  형태로  사회가  이동하는  것임


-  복지를  통합과  공동체라는  사회생활의  요인에  관련지어  사회의  일부분으로  이해


-  사회복지는  사회나  국가수준의  복지  외에도  사회서비스,  기업복지,  자선  및  자발적,  다양한  상호부조를  포함함

 

2.  시민권론(citizenship  theory)

 

-  시민권이란  공동체의  완전한  성원에게  부여된  여러  가지의  권리와  권력을  향유할  수  있는  지위를  말하며,  공민권,  정치권,  복지권으로  구성됨


-  복지권은  최소한의  경제적  복지와  보장에  대한  권리로부터  사회적  유산을  공유하고,  사회의  통상적  기준에  따라  문명화된  삶을  향유할  수  있는  권리에  이름


-  마샬(Marshall):  시민권을  공민권,  정치권,  사회권으로  구분.  대체로  공민권은  18세기,  정치권은  19세기,  복지권은  20세기에  확립됨


-  자본주의  사회에서  복지권은  평등지향의  시민권  이념과  현실의  사회적  불평등을  양립케  함

 

3.  음모이론(conspiracy  theory)

 

-  사회복지  정책의  주목적이  인도주의나  양심의  실현이  아니라  사회안정  및  질서의  유지와  사회통제라는  것임


-  피븐(Piven)과  클로와드(Cloward) :  미국의  사회복지  발전을  분석한  결과  대량실업에서  파생되는  시민들의  소요사태가  발생하면  공공  복지제도가  시작되거나  확장되며,  반대로  정치적  안정이  회복되면  그러한  프로그램은  폐지되거나  감축된다는  사실을  발견


-  비스마르크  사회보험입법을  보면  당시  극심하던  사회운동을  저지시켜  사회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속셈이라고  평가  할  수  있음


-  중상층  계급이  자비심에서가  아니라  빈민을  규제하기  위해  공적  사회복지  제도를  사용한다고  봄


-  사회복지정책은  복지에  대한  인도주의적  관심으로부터  발생한  것이  아니라  사회적  무질서를  해결하고,  노동규범을  강제하기  위한  억압책임


-  갈등기  또는  정권교체기에  등장하는  사회복지정책이  정당성의  확보  또는  정치권력의  재생산을  위하여  도입ㆍ확대된다는  사실을  명확히  폭로해  낼  수  있는  장점이  있음

 

4.  엘리트  이론(Elite  theory)

 

엘리트  (정책지시)  →   정부관료  &  행정가  (정책집행)  →  일반대중

 

-  사회복지정책은  엘리트의  산물


-  엘리트 :  일반적으로  특별한  자격을  갖춘  소수의  사회지도자,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사회의  각  분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계층으로  일반  대중과  구분


-  엘리트  이론가의  입장에서  대중은  맹목적이며,  자리적  판단을  하지  못하고  감정적인  유혹에  쉽게  이끌리거나  창조적인  행동을  하지  못한다고  봄


-  입법가,  정부관료  등  공식적인  정책결정자들이  형식적으로는  정책을  결정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보이지  않는  지배엘리트들이  자신의  선호나  가치에  따라  결정


-  따라서  지배엘리트들이  얼마나  일반대중의  가치와  선호를  정책내용에  반영하고  있느냐가  중요한  문제로  제기됨.  즉,  수혜자  친화적,  수혜자  중심적  사회복지정책을  어떻게  수립할  수  있는가가  관건임

 

 

 


학습정리
1.  (구조)기능주의이론(functionaLism  theory)
-  전후 사회를 지배해 온 대표적 이론
-  국가의 복지제도의 주된기능 “통합‘임
-  기능주의자는 사회발전은 구조적 분화과정으로 분석함
2.  시민권론(citizenship  theory)
-  시민권이란 공동체의 완전한 성원에게 부여된 여러 가지의 권리와 권력을 향유할 수 있는 지위를 말하며, 공민권, 정치권, 복지권으로 구성됨
3.  음모이론(conspiracy  theory)
-  사회복지 정책의 주목적이 인도주의나 양심의 실현이 아니라 사회안정 및 질서의 유지와 사회통제라는 것임
4.  엘리트 이론(Elite  theory)
-  엘리트 (정책지시)  →  정부관료 & 행정가 (정책집행)  →  일반대중
-  사회복지정책은 엘리트의 산물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정책론 강의정리 : 최유미 교수 2021년 1학기 강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