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관리의 주체와 도구
2. 사례관리자 1) 사례관리자의 정의 - 클라이언트의 사례관리 전 과정에 직간접적으로 개입하면서 클라이언트의 자활 과 자립을 위한 활동을 하는 전문가 2) 사례관리자의 역할 - 클라이언트의 문제 확인, 욕구사정, 계획수립, 자원개발 등 - 옹호자, 중재자, 중개자, 자원개발자, 중재자, 점검자, 조정자 등 - 최근 자원 연결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음 : 사례관리의 통합성 강조 3) 사례관리자의 자격과 훈련 - 다양한 공간에서 ‘사례관리’의 역할 강조 : 공공영역으로도 확대 - 사례관리표준실천지침(2006) : 사회복지사 1급 - 실천경력 2년 이상, 사회복지사 2급 - 실천경력 4년 이상 - 지역의 자원을 많이 알고, 자원에 대한 네트워킹이 되어 있는 사람이라면 더욱 바람직 -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사례..
사례관리의 객체
1. 사례관리 대상자 : 클라이언트 1) 사례관리 구성체계 : 클라이언트, 사례관리자, 자원, 운영체계, 과정 2) 사례관리 대상자(클라이언트)의 개념 - 복합적인 욕구를 가지고 있어 하나 이상의 사회자원을 필요로 하지만 자원의 소재와 이용 방법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 3) 클라이언트의 특징(모두에 해당하지는 않음) - 자신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 - 자신의 욕구 충족을 위한 자원의 존재를 모르거나 이용 방법을 모른다. - 많은 경우 만성질환이 있다. - 신체적·정신적으로 어려움을 겪었거나 겪고 있다. - 자신을 보호할 보호자(가족 등)가 없으며, 있다 하더라도 보호 능력이 부족하다. 결핍, 빈곤, 질환, 무기력 vs 잠재적 능력, 과거의 성공 경험, 활기찬 성격, 인내력, 많은 자원..
사례관리 - 네트워크 이론
네트워크 이론 1) 역사적 배경 - 사회관계망, 조직간 관계 또는 연줄망, 서비스 연계망, 기관 간 연계, 조직 간 협력, 지역사회 관계망 - 네트워크(이영준, 2007) : 자원, 기술, 사회관계, 지식, 신뢰 등을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사람 또는 단체의 공식적 혹은 비공식적 관계의 망으로서 유대 또는 연계 - 국가 복지의 대안으로 등장 - 클라이언트 측면 : 클라이언트 체계의 욕구 복합성과 그에 대응하는 조직의 단일 목표 지향 - 사례관리자 측면 : 사례관리 운영체계가 이루어지고 목표도 함께 달성 2) 특징 가. ‘네트워크’의 특성 - 구조적 차원 : 관계의 형태 의미, 관계의 강도와 방향성 등 형태상 특성을 다룸 - 상호작용 차원 : 네트워크 내용, 조직간 상호 호혜성, 조직 간 상호작용 빈도, 네..
사례관리 - 임파워먼트 이론
임파워먼트 이론 1) 사례관리와 임파워먼트 이론 - 임파워먼트 : 억압적인 사회환경을 변화시켜 사회적 영향력을 수행하고자 하는 행동 중심의 접근부터 개인과 집단이 환경에 적응하는 힘을 키워 어려움으로부터 자신과 삶을 회복하는 것까지 폭넓게 사용됨 - 20세기 초~ 중반 서구의 소수인종, 여성, 장애인 등 사회취약층의 인권과 사회권을 주창하는 교육, 정치사상, 사회운동이 진행되면서 발달 - 진단주의와 대비 : 기능주의, 생태체계 이론, 강점관점, 해결중심치료 등과 연결 - 우리나라 : 1990년대 중반 이후 활용되기 시작, 사례관리에서도 임파워먼트 이론 적용 2) 임파워먼트 이론의 주요 개념들의 응용 가. 임파워먼트의 개념 - 빈곤, 방임, 폭력, 질환, 장애 등 인간을 억압하는 환경에 대응하여 개인,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