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주의 이론
1) 역사적 배경
- 근대화 : 산업혁명 후 신 중심에서 인간(이성)을 중심으로 한 자본주의, 개인주의, 논리주의, 이성주의가 발전하면서 시작됨
- 인간의 개별적 요소보다 유기적 관계와 구조를 중시함
- 사회구성주의는 언어를 수단으로 연결되어 있는 사람들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관련성으로 지식이 형성되며, 그 지식으로 세계를 이해함
- 핵심주장 : 우리가 매일 마주하는 현상은 객관적 실체로서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창조 또는 구성해 내는 것
(인간의 상호작용 자체가 지식을 만드는 출발점)
2) 특징
- 기존 사고와의 차이
① 과학 : 과학적 진리를 찾거나 이론·법칙·원리를 발견하는 수단적 학문 → 우리가 사는 세계를 알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② 과학적 지식 : 반증 될 수 있으나 현재로는 반증되지 않음
③ 객관성보다 주관성을 중시함
- 지식의 개념 : 외부에서 주어진 것을 그대로 받아들여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인지를 가진 사람이 주체가 되어 그 지식과 경험을 해석하고 그 의미를 부여 하는 것
- 인간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와 상호작용을 통해서 형성된 우리 자신의 신념, 전제, 전통, 규범 등의 렌즈를 통해 현실을 구성
3) 실천에서의 적용
- 대안적 의미 생성에 참여
- 맥락 안에서 클라이언트의 믿음 체계 이해
- 평등한 관계 안에서 대화를 통한 사회구성
-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대화 과정을 통한 방안의 도출
- 다양한 의견과 가치체계를 의식하고 소중히 여김
부산디지털대학교 <사례관리론> 강의정리 : 조향숙 교수 2022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사례관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례관리 - 네트워크 이론 (0) | 2022.09.06 |
---|---|
사례관리 - 강점관점 (0) | 2022.09.06 |
사례관리 - 임파워먼트 이론 (0) | 2022.09.06 |
사례관리 - 생태체계 이론 (0) | 2022.09.06 |
사례관리의 발달 (0) | 2022.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