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체계 이론
1) 사례관리와 생태체계 이론
- 일반체계 이론(체계간의 상호의존) + 생태이론(인간 유기체 내부, 체계들의 관계 - 적합성,적응)
- ‘환경속의 인간’이 구체화되어 개념과 방향성을 제공함
- 다중관점과 맥락을 볼 수 있어야 함, 부분들의 상호작용이 어떤 식으로 문제를 유발하고 유지하는지, 전체적인 패턴이 일정하게 지속되거나 혹은 변화하는 방식에 대한 관심
2) 생태체계 이론의 주요 개념들의 응용
- 미시체계(microsystem) : 개인이 직접적 영향을 받고 교류하는 체계인 가족,이웃,자녀가 다니는 학교 등, 개인의 심리사회적 발달과 밀접히 연관
- 중간체계(mesosystem) : 둘 이상의 미시체계들 사이에서 연결고리로 작용할 수 있고, 그 관계와 상호작용을 알려줄 수 있는 체계, 직장, 종교기관, 복지 기관 등
- 외체계(exosystem) : 개인에게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체계, 관공서, 문화시설, 대중매체 등
- 거시체계(macrosystem) : 사회구성원 모두에게 영향을 주는 거시적 수준의 가치, 관습, 사회문화구조, 사회제도 등
- 주요 개념 : 항상성, 경계, 개방성과 폐쇄성(외적 환경이나 다른 체계들과 정보 와 에너지를 나누고 교류하는 방식과 수준이 달라짐)
- 핀커스와 미나한(Pincus & Minahan, 1973) : 변화매개체계, 클라이언트체계, 표적체계, 행동체계
3) 생태체계 이론의 한계
- 사회구조의 작동원리는 설명이 가능하나 구체적인 실천 모델이 없으므로 임파워먼트, 인지행동, 해결중심 모델 등 다른 개입방법을 응용하여 사용해야 함.
부산디지털대학교 <사례관리론> 강의정리 : 조향숙 교수 2022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사례관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례관리 - 구성주의 이론 (0) | 2022.09.06 |
---|---|
사례관리 - 임파워먼트 이론 (0) | 2022.09.06 |
사례관리의 발달 (0) | 2022.09.03 |
사례관리의 가치와 실천윤리 (0) | 2022.09.03 |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과 기능 (0) | 2022.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