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강점관점
1) 역사적 배경
- 진단주의에 대한 깊은 불만족에서 파생 : 클라이언트의 희망, 유능성, 성장, 발달, 경험에 기여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의 목표, 열망에 초점. ‘강점’과 ‘회복력’ 에 중심
- 우리나라는 1990년대 이후 ‘역량강화’, ‘권한부여’의 개념으로 소개됨
2) 특징
가. 강점관점의 원칙
- 클라이언트는 그들 스스로의 삶을 회복, 개선, 변화할 수 있다.
- 결점보다는 개인의 강점에 초점을 둔다
- 지역사회는 자원의 오아시스이다
- 클라이언트는 실천과정의 지도자이다
- 사례관리자와 클라이언트 관계는 가장 우선적이며 본질적이다
- 강점관점 실천의 첫 번째 장은 지역사회이다.
3) 실천에서의 적용
- 사례관리의 목적 : 클라이언트가 지역사회 주민들과 상호 의존하면서 스스로의 생활을 회복, 개선하고 변화하도록 돕는 것, 변화를 위해 도움이 되는 자원의 범위를 확인하고, 클라이언트가 생활하고 활동하기 위해 필요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해야 함
- 사회복지사에 의한 문제정의, 상황 해석, 개입 처방 등이 철저히 자제되어야 함. 즉 클라이언트가 어떤 상황으로 변화되길 원하는지,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함
부산디지털대학교 <사례관리론> 강의정리 : 조향숙 교수 2022년 2학기 강의
728x90
반응형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사례관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례관리의 모델 (0) | 2022.09.06 |
---|---|
사례관리 - 네트워크 이론 (0) | 2022.09.06 |
사례관리 - 구성주의 이론 (0) | 2022.09.06 |
사례관리 - 임파워먼트 이론 (0) | 2022.09.06 |
사례관리 - 생태체계 이론 (0) | 2022.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