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례관리 모델의 의미
1) 사례관리 모델의 의미
가. 안내서(실천가), 검증의 대상(연구자)
- 서비스 전달이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는 유연한 과정
- 모델마다 다른 목표는 사례관리자가 클라이언트에게 개입할 대의 책임성, 역할, 개입 기간에 대해 다른 관점을 지니게 함
- 각 모델마다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적합한 모델을 선택을 할 수 있게 함.
2. 사례관리 모델
1) 사례관리자의 역할을 기준으로 한 모델(Early & Poertner)
가. 치료자 모델
- 기존 사회복지 치료 모델 + 자원 연결 기능 강화
- 사정 : DSM에 근거, 직접적인 치료가 우선 계획됨
- 모니터링 : 클라이언트와의 피드백을 통해(다른 치료기관과의 연계는 수동적인 편)
- 치료가 우선
나. 중개인 모델
- 서비스 기관들의 협력체계가 잘 구성되어 있지는 않으나 보다 나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서비스에 대한 중개를 적극적으로 진행
- 사정 : DSM 기준, 주기적인 모니터링
- 사례관리자가 클라이언트의 욕구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적극 주선, 중개
다. 기관 간 팀 모델
- 서비스 조정에 합의된 기관들이 적극적으로 협력, 서비스 제공
- 사정 : 각각 전문가에 의해 서비스 팀 계획에 의해 시행
- 다 직종 간 조정이 강조됨. 서비스계획을 각 전문가가 사정한 후 함께 사정, 팀에 의한 정기적 모니터링
라. 강점관점 모델
- 클라이언트 강점에 기초하여 사정 강조
- 사례관리 과정에 클라이언트의 적극적 참여 강조
- 사례관리자는 클라이언트의 자기 결정과 클라이언트의 특정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클라이언트를 지원하는 역할을 주로 함
2) 서비스의 복합성 수준에 따른 모델(황성철)
가. 단순형
- 목적 : 지역사회의 자원과 서비스 연계
- 사례관리자 : 준전문가, 전문가, 훈련된 자원봉사자
- 담당 사례 수 : 비교적 많음
나. 기본형
- 목적 : 지역사회의 자원과 서비스 연계 + 기초상담, 조언
- 사례관리자 : 준전문가, 전문가
- 담당 사례 수 : 30사례 내외
다. 종합형
- 목적 : 지역사회의 자원과 서비스 연계 + 심층상담 또는 치료
- 사례관리자 : 전문가
- 담당 사례 수 : 10~20 사례
라. 전문관리형
- 목적 : 직접, 간접서비스 제공, 관리자로서 서비스 관리
- 사례관리자 : 특수 분야별 전문가
- 담당 사례수 : 10 사례 미만
3) 서비스 전달 기반에 따른 사례관리 모델(Woodside & Mcclam, 2003)
가. 역할 기반 사례관리
- 목적 : 클라이언트의 욕구 충족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 연결, 치료적 케어 제공, 서비스의 효과성 질평가
- 책임성 : 사례관리 전과정
나. 조직 기반 사례관리
- 목적 : 단일 장소에서 복합적 욕구 충족을 위한 서비스 제공
- 책임성 : 서비스 조정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문가팀 운영 책임
다. 책임 기반 사례관리
- 목적 : 사례관리자의 장·단기 참여, 서비스의 조정, 자원봉사자의 도움, 클라이언트 임파워먼트 강조
- 책임성 : 조정, 서비스 평가 등과 문제 규명, 계획, 수행 등에 따라 다양
부산디지털대학교 <사례관리론> 강의정리 : 조향숙 교수 2022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사례관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례관리의 주체와 도구 (0) | 2022.09.06 |
---|---|
사례관리의 객체 (0) | 2022.09.06 |
사례관리 - 네트워크 이론 (0) | 2022.09.06 |
사례관리 - 강점관점 (0) | 2022.09.06 |
사례관리 - 구성주의 이론 (0) | 2022.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