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사례관리자
1) 사례관리자의 정의
- 클라이언트의 사례관리 전 과정에 직간접적으로 개입하면서 클라이언트의 자활 과 자립을 위한 활동을 하는 전문가
2) 사례관리자의 역할
- 클라이언트의 문제 확인, 욕구사정, 계획수립, 자원개발 등
- 옹호자, 중재자, 중개자, 자원개발자, 중재자, 점검자, 조정자 등
- 최근 자원 연결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음 : 사례관리의 통합성 강조
3) 사례관리자의 자격과 훈련
- 다양한 공간에서 ‘사례관리’의 역할 강조 : 공공영역으로도 확대
- 사례관리표준실천지침(2006) : 사회복지사 1급 - 실천경력 2년 이상, 사회복지사 2급 - 실천경력 4년 이상
- 지역의 자원을 많이 알고, 자원에 대한 네트워킹이 되어 있는 사람이라면 더욱 바람직
- 사회복지사 보수교육, 사례 콘퍼런스 등을 통해 전문성 강화
4) 사례관리자의 기초지식
- 사례관리를 둘러싼 제반환경, 정책에 대한 내용 :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사회 복지정책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음
- 사례관리에 필요한 가치 : 인격적 대우, 비밀보장, 자기결정, 윤리적 민감성 등
- 사례관리를 위해 필요한 역량 : 욕구사정, 계획수립, 평가, 자원개발, 자원 네트워킹, 의사소통 등
3. 자원
1) 자원의 개념
- 사회복지 대상자인 개인, 가족, 지역사회 주민, 국민의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키거나 그들이 당면한 문제를 해결해 주기 위한 수단
- 지역사회자원 : 욕구 충족을 위해 동원된 지역사회의 시설·설비, 자금, 물자, 집단이나 개인이 가진 지식이나 기능 등
2) 자원의 분류
- 지원방법에 따른 분류
① 공식적 자원 : 사회복지관, 행정복지센터, 사회복지공무원, 상담기관, 공식적인 자원봉사단체 및 협의회 등
② 비공식적 자원 : 가족, 친구, 동료, 이웃, 후원자, 자발적 자원봉사, 민간자원 봉사단체, 종교단체, 자발적 권익단체, 가족 자조모임 등
- 형태에 따른 분류
① 유형의 자원 : 현금, 현물, 건축물 등
② 무형의 자원 : 지식, 재능, 정신, 신뢰 등
- 구성요소에 따른 분류
① 제도적 차원 : 사회복지와 관련한 각종 법, 제도, 정책
② 조직적 차원 : 중앙정부, 자치단체, 읍·면·동과 같은 공공조직과 복지조직, 교육조직, 기업조직, NGO조직 등
③ 인적 차원 : 문화, 예술, 체육, 건축, 소방, 의료, 법률 등
④ 재정적 차원 : 기여금, 후원금, 보조금 등
⑤ 정보 차원 : 지식 정보, 정책 정보, 지역사회 정보 등
주의 ; 인터넷 포탈사이트 정보는 확인되어야 함
3) 자원은
- 클라이언트의 욕구에 부합할 수 있는 좋은 품질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함 : 클라이언트의 욕구, 사회, 조직 등의 환경에 반응하는 관리체계와 프로세스를 개발
- 평상시에 개발하고 관리해야 함
부산디지털대학교 <사례관리론> 강의정리 : 조향숙 교수 2022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사례관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례관리 과정과 기록 - 초기단계 (0) | 2022.09.06 |
---|---|
사례관리의 방법과 과정 (0) | 2022.09.06 |
사례관리의 객체 (0) | 2022.09.06 |
사례관리의 모델 (0) | 2022.09.06 |
사례관리 - 네트워크 이론 (0) | 2022.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