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례관리 대상자 : 클라이언트
1) 사례관리 구성체계 : 클라이언트, 사례관리자, 자원, 운영체계, 과정
2) 사례관리 대상자(클라이언트)의 개념
- 복합적인 욕구를 가지고 있어 하나 이상의 사회자원을 필요로 하지만 자원의 소재와 이용 방법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
3) 클라이언트의 특징(모두에 해당하지는 않음)
- 자신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
- 자신의 욕구 충족을 위한 자원의 존재를 모르거나 이용 방법을 모른다.
- 많은 경우 만성질환이 있다.
- 신체적·정신적으로 어려움을 겪었거나 겪고 있다.
- 자신을 보호할 보호자(가족 등)가 없으며, 있다 하더라도 보호 능력이 부족하다.
결핍, 빈곤, 질환, 무기력 vs 잠재적 능력, 과거의 성공 경험, 활기찬 성격, 인내력, 많은 자원 소유 등 |
4) 일반적으로 사회복지시설에서 원조하는 대상들
가. 저소득층
- 클라이언트 중 많은 비중 차지
- 국민기초 생활수급자 :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해산급여, 장제급여
- 선정기준과 지원 정도 매년 변경됨
- 주요문제 : 실업, 가족해체, 질병, 우울 등
- 강점 : 자활의지, 삶에 대한 긍정적 태도, 사회적 지지망
- 지원기관 : 자활센터, 종합사회복지관, 심리센터 등
나. 노인
- 노인인구의 증가, 사례관리 대상자의 많은 비율
- 주요문제 : 이혼, 질병, 학대 등(주로 독거노인, 빈곤, 건강문제)
- 삶의 지혜, 가족애 등
다. 장애인
- 우리나라 장애유형 : 15유형 - 선천적 < 후천적
- 제도적·문화적·관습적 차별
- 탈시설화, 지역사회 거주
라. 아동
- 미혼모, 학대, 비행, 가출, 유기 등
- 보호가 필요한 아동의 숫자는 감소하고 있음
- 아동권리의 확대
마. 다문화 가구
- 빠르게 증가 중
- 우리나라의 특성 : 결혼이주여성(중국, 베트남, 필리핀의 비율의 높음)
- 재혼비율 증가
- 이주자 : 문화적 차이로 인한 적응의 문제
- 자녀 : 언어발달 지체, 다른 피부색으로 인한 차별, 학업 등
바. 기타
- 정신질환자
- 노숙인
- 여성 등
5) 누구나 클라이언트가 될 수 있을까?
가. 클라이언트의 범주에 대한 정정적 기준 필요
- 자격 조건과 선정기준
- 규모
- 유형 등을 규정하는 것이 필요
부산디지털대학교 <사례관리론> 강의정리 : 조향숙 교수 2022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사례관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례관리의 방법과 과정 (0) | 2022.09.06 |
---|---|
사례관리의 주체와 도구 (0) | 2022.09.06 |
사례관리의 모델 (0) | 2022.09.06 |
사례관리 - 네트워크 이론 (0) | 2022.09.06 |
사례관리 - 강점관점 (0) | 2022.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