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사례관리의 운영체계
1) 개념
- 사례관리를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 사례관리는 만성적이고 복합적인 문제를 지닌 대상자를 지역사회자원과 사례관리 기법을 통하여 지원하기 때문에 사례관리자 혼자서 감당하기는 어려움
- 조력자 : 사회복지시설 내부, 외부
2) 운영체계의 유용성
- 클라이언트의 발굴, 의뢰, 연계가 활발하게 이루어짐
- 서비스 제공자 간 협력의 강화, 지역사회자원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음
- 서비스 전달체계로서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함
3) 내부 운영체계
- 개념 : 사회복지시설 내 조직 구성에서 사례관리 부서를 두고 사례관리를 수행 하는 경우
- 공공 : 시·군·구 복지정책과(팀)
- 민간 : 사회복지관, 지역아동센터, 지역자활센터, 거주시설 등
- 타부서와의 유기적 협력관계 형성 중요함
- 시설 내 정기적인 사례회의를 통해 특정 사례에 대해 시설 내에서 정보와 서비스 등을 공유
- 사례관리팀
① 팀장 : 사례관리 총괄, 슈퍼비전 제공이 가능해야 함
② 사례관리자
③ 파트타임 사례관리자(필요시)
④ 준사례관리자(필요시)
⑤ 기타 사례관리에 필요한 전문가
4) 외부 운영체계
가. 공공의 입장
- 시·군·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읍·면·동단위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최말단 행정조직에도 복지조직이 있음
- 지역사회 내 개별 기관 : 건강가정지원센터, 가정위탁지원센터, 지역사회정신건강센터 등
나. 민간 시설의 입장
- 시설 밖 자원을 네트워킹하여 조직 : 통합사례회의, 솔루션회의 등
- 외부 슈퍼바이저
다. 전문 슈퍼바이저
- 자격 : 사례관리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전문성을 가진자로서 대학교수나 현장 전문가
- 역할
① 임상적 자문과 컨설팅
② 행정적인 지도
③ 사례관리 실천에 필요한 교육훈련
④ 사례관리 기관들에 대한 조정과 중재
⑤ 사례관리자들의 소진 예방 및 극복을 위한 지원 등
5. 사례관리 과정
1) 초기
- 사례발굴
- 초기상담
- 클라이언트 선정
- 동의 및 계약
2) 사정
- 욕구사정
- 강점 및 자원 사정
- 장애물 사정
- 종합적 사정
3) 목표 및 계획수립
- 목표 설정
- 개입 및 실행
- 계획수립
4) 실행과정
- 직접실천
- 간접실천
5) 종결
- 평가
- 종결
- 사후관리
부산디지털대학교 <사례관리론> 강의정리 : 조향숙 교수 2022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사례관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례관리 과정과 기록 - 사정단계 (0) | 2022.09.06 |
---|---|
사례관리 과정과 기록 - 초기단계 (0) | 2022.09.06 |
사례관리의 주체와 도구 (0) | 2022.09.06 |
사례관리의 객체 (0) | 2022.09.06 |
사례관리의 모델 (0) | 2022.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