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이론
1) 역사적 배경
- 사회관계망, 조직간 관계 또는 연줄망, 서비스 연계망, 기관 간 연계, 조직 간 협력, 지역사회 관계망
- 네트워크(이영준, 2007) : 자원, 기술, 사회관계, 지식, 신뢰 등을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사람 또는 단체의 공식적 혹은 비공식적 관계의 망으로서 유대 또는 연계
- 국가 복지의 대안으로 등장
- 클라이언트 측면 : 클라이언트 체계의 욕구 복합성과 그에 대응하는 조직의 단일 목표 지향
- 사례관리자 측면 : 사례관리 운영체계가 이루어지고 목표도 함께 달성
2) 특징
가. ‘네트워크’의 특성
- 구조적 차원 : 관계의 형태 의미, 관계의 강도와 방향성 등 형태상 특성을 다룸
- 상호작용 차원 : 네트워크 내용, 조직간 상호 호혜성, 조직 간 상호작용 빈도, 네트워크의 지속성, 연결성, 강도, 확장 정도, 다양성 등
- 기능적 차원 : 네트워크가 구성원들에게 어떤 역할을 하는가? 즉 참여한 행위자들의 필요, 의도, 자원, 전략에 의존 등
나. 네트워킹을 추구하는 이유
- 자원에 대한 필요성
- 조직 영역의 확장 필요성
-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필요성
-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필요성
- 규모의 경제와 비용절감을 위한 필요성
3) 실천에서의 적용
- 사례관리를 위한 운영체계 구축 : 지역사회기관과의 협력, 통합사례관리팀 구축, 인적·물적 지원망 구축 등에 적용
- 사례관리 과정 및 계획 수립, 실행 : 공식적·비공식적 지지망 구축, 지역사회기관과 연계 및 협력하는데 적용
- 평가 :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된 공식적·비공식적 자원, 서비스에 참여한 지역사회기관과의 연계, 협력정도 파악하는데 활용
부산디지털대학교 <사례관리론> 강의정리 : 조향숙 교수 2022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사례관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례관리의 객체 (0) | 2022.09.06 |
---|---|
사례관리의 모델 (0) | 2022.09.06 |
사례관리 - 강점관점 (0) | 2022.09.06 |
사례관리 - 구성주의 이론 (0) | 2022.09.06 |
사례관리 - 임파워먼트 이론 (0) | 2022.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