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평가의 목적
평가 사물의 가치나 수준 따위를 일정한 기준에 의해 따져 매김 사회복지 분야에서 평가는 Assessment(사정)도 평가로 번역되기도 함 1. 프로그램 평가의 목적 1) 프로그램의 개념 - 어떤 구체적인 목적 달성을 위해 고안된 조직적인 활동 - 사회복지실천의 일환으로 제공되는 개입, 서비스르 의미 - 좋은 프로그램이 되려면 직원, 예산, 효과검증(평가)을 위한 조사연구, 이론적 근거, 프로그램의 철학 등이 필요함 2) 프로그램의 평가 가. 개념 - Rossi & Freeman(1982) : 사회적 개입 및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개념화, 설계,기획, 관리행정, 실행, 효과, 효율 및 활용에 대한 이해와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 - 김기원(2001) : 프로그램의 효과성, 효율성, 적절성, 만족도 등을 체..
욕구조사의 방법
1. 욕구조사의 방법 1) 기존 자료의 활용 : 이차적 자료 가. 이차적 자료란 - 인구센서스 : 인구구성, 성비, 연령층, 주택, 가구 현황 등 - 정부 자료, 통계, 보고서 : 보건, 의료, 식품, 영양, 취약계층, 빈곤층 등 - 복지기관의 기록, 보고서, 파일 : 서비스 이용 현황, 클라이언트 현황, 지역사회 자원 현황 등 나. 이차적 자료의 장, 단점 - 장점 : 쉽게 구할 수 있고 이용하기 편리함 - 단점 : 오래된 것이거나 신뢰성이 약하거나 불완전한 자료일 가능성 있음(과소,과대평가의 가능성) 2) 개괄적 접근 가. 주요 정보 제공자 조사 - 실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제공자, 여론 주도층, 주요 정보제공자를 통해 의견을 직접 청취하거나 자문을 구함 - 장점 : 보다 구체적이고 생생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