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 |
사물의 가치나 수준 따위를 일정한 기준에 의해 따져 매김 사회복지 분야에서 평가는 Assessment(사정)도 평가로 번역되기도 함 |
1. 프로그램 평가의 목적
1) 프로그램의 개념
- 어떤 구체적인 목적 달성을 위해 고안된 조직적인 활동
- 사회복지실천의 일환으로 제공되는 개입, 서비스르 의미
- 좋은 프로그램이 되려면 직원, 예산, 효과검증(평가)을 위한 조사연구, 이론적 근거, 프로그램의 철학 등이 필요함
2) 프로그램의 평가
가. 개념
- Rossi & Freeman(1982) : 사회적 개입 및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개념화, 설계,기획, 관리행정, 실행, 효과, 효율 및 활용에 대한 이해와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
- 김기원(2001) : 프로그램의 효과성, 효율성, 적절성, 만족도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의사결정권자로 하여금 합리적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정보를 산출하는 과정
- 우수명(2004) : 프로그램 발전을 위하여 프로그램의 기획 및 진행의 과정, 종결에 나타나는 긍정적, 부정적 요인의 원인을 총체적, 체계적인 평가기준을 통하여 진단하는 것
- 프로그램 평가란 프로그램의 개선 및 발전을 위한 일련의 활동으로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과정
나. 프로그램 평가의 필요성
- 클라이언트가 필요한 도움을 받고 있는가?
- 클라이언트를 돕기 위해 더 좋은 방법은 없는가?
- 우리 기관의 프로그램은 다른 기관과 어떻게 비교되는가?
- 현재 진행중인 프로그램을 계속 운영해야 하는가?
- 우리 기관의 프로그램을 어떻게 하면 더 나은 프로그램으로 만들 수 있는가?
- 재정을 지원하고 있는 기관의 평가에 어떻게 대비할 것인가?
다. 프로그램 평가의 목적
- 프로그램의 효과성, 효율성을 파악하여 예산 지원에 대한 정당한 확보
- 클라이언트에게 보다 질 높은 서비스 제공
- 관리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프로그램 지속 여부, 예산편성 등)
- 프로그램 운영자가 책무성을 다할 수 있도록 함
- 평가를 통해 프로그램 개발과 개선에 필요한 정보제공(프로그램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지속적으로 개선)
2. 프로그램 평가 시 사전 고려사항
1) 프로그램 평가 시 사전 고려사항
- 프로그램 평가에 시간이 얼마나 제공되는가?
- 평가를 수행하는 데 어떤 자원(인적, 예산)이 있는가?
- 평가보고서를 읽을 사람은 누구인가?
- 평가의 목적이 무엇인가?
2) 프로그램의 로직모델
가. Inputs
- 프로그램 개발에 들어간 모든 자원(resources)
나. Activities
-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 활용된 모든 개입활동(activities)
다. Outputs
- 프로그램 활동을 통해 성취된 일들 (일의 분량)
라. Outcome
- 프로그램 참여자에게 나타나는 변화(change), 참여자들이 프로그램 참여로 얻은 유익(benefits)
마. Impact
- 프로그램을 통해 나타난 추후 변화. 즉, 프로그램 종료 후 추후 나타난 긍정적 결과
학습정리
1. 프로그램의 평가의 목적
- 프로그램의 개념
- 프로그램 평가 : 개념과 필요성
- 프로그램 평가의 목적
2. 프로그램 평가 시 사전 고려사항
- 프로그램 평가 시 사전 고려사항
- 프로그램 로직모델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조사론 강의정리 : 이은자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1-2사회복지 조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램 평가의 유형 (0) | 2022.06.21 |
---|---|
프로그램 평가의 과정 (0) | 2022.06.21 |
욕구조사의 방법 (0) | 2022.06.21 |
욕구조사의 과정과 내용 (0) | 2022.06.21 |
욕구조사 (0) | 2022.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