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프로그램 평가의 과정
1) 욕구조사
- 프로그램 도입(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필요성 파악이 목적임)
2) 초기평가
- 프로그램의 초기 단계에서 프로그램의 정착을 위한 평가
- 프로그램 개선이 목적
3) 과정평가
- 프로그램 내용 기술
- 프로그램 모니터링 : 정해진 목표에 따라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가? 서비스 이용실태 등
- 프로그램의 질 보증
① 제공되는 서비스가 문제가 없는지?
② 규정 및 기준대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가?
③ 이용자 만족도 등
- 프로그램 개선 목적
4) 결과평가
- 프로그램의 성공여부 평가
① 프로그램의 목표 달성
② 프로그램 성과
③ 클라이언트의 변화 여부 등
- 과정평가의 결과와 결과평가의 결과를 연계하는 것이 중요
- 비용분석 평가도 포함함
2. 프로그램 평가의 유형
1) 프로그램 평가의 유형
가. 기본평가 - 서비스 이용 실태에 대한 평가
- 서비스 이용에 대한 자료는 가장 기초적인 정보임
- 질문 : 서비스 이용자가 누구이며, 서비스를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가?
- 목적 : 프로그램 이용과 이용자에 대한 모니터링(구체적인 목표 설정)
- 내용 및 의의
① 의도한 목표 및 대상에 대한 확인 가능
② 클라이언트의 특성 파악
③ 사실적인 묘사, 가장 기초적인 정보
나. 서비스 이용만족도에 대한 평가
- 질문 : 제공하는 서비스나 프로그램에 클라이언트가 어느 정도 만족하는가?
- 목적 : 클라이언트의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측정
- 내용 및 의의 :
①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가능
② 포괄적 평가의 일부분으로 많이 활용
③ 평가 중 가장 단순하고 가장 자주 사용하는 평가
- 이용자 만족도 평가시 유의사항
①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척도를 사용함
② 동일한 도구를 반복해서 사용함(자료의 추세를 알 수 있음)
③ 평가가 정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분기, 반기별 평가)
④ 평가도구는 최소한 한 문장 이상의 개방형 문항을 포함함
다. 초기평가
- 질문 : 현재 진행중인 프로그램을 좀 더 나은 프로그램으로 만들 방안은 무엇인가?
- 목적 : 진행중인 프로그램의 개선에 초점, 초기단계에서 프로그램의 정착을 위하여 수행
- 내용 및 의의
① 질적 연구인 기술적 형식을 띰
② 클라이언트와 담당 직원의 경험 기술, 참여자 관찰 활용
③ 종결평가와 대비
- 방법
① 전문가로부터 자문을 구함
② 보편화 되고 인정된 ‘표준모델’ 찾기
③ 특별위원회를 구성하여 평가 진행
학습정리
1. 프로그램 평가의 과정
- 욕구조사
- 초기평가
- 과정평가
- 결과평가
2. 프로그램 평가 유형
- 기본평가
- 초기평가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조사론 강의정리 : 이은자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1-2사회복지 조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적 조사의 개념 (0) | 2022.06.21 |
---|---|
프로그램 평가의 유형 (0) | 2022.06.21 |
프로그램 평가의 목적 (0) | 2022.06.21 |
욕구조사의 방법 (0) | 2022.06.21 |
욕구조사의 과정과 내용 (0) | 2022.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