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질적 조사의 개념
1) 질적 조사방법의 기원
- 19세기 말, 문화인류학 중 문화기술학의 영향
- 제2차 세계대전 말엽, 시카고 학파 중심의 심층 관찰
- 1970년대 중반, Thomas Kuhn(1970),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 출간
2) 질적 조사의 의미와 필요성
가. 의미
- 전통적인 양적 조사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귀납적, 해석적 조사방법을 강조하는 연구방법
나. 필요성
- 잘 알려지지 않은 주제에 대한 탐색적 접근
- 민감하고 정서적으로 깊이 있는 주제, 심층적 조사
- ‘생생한 경험’에 대한 이해, 의미 도출
- 프로그램이나 정책 및 기관의 내면 탐구, 평가
2. 질적 조사의 특성
1) 특성
- 조사자가 자신이 조사도구가 됨
- 주로 작은 규모의 표본(대상자, 연구 참여자)
- 자연스러운 상태의 생활환경이 연구의 장이 됨
- 주로 이야기 방식의 기술적인 묘사가 많음
- 귀납적이고 탐색적인 성격을 가짐
2) 자료수집방법
- 관찰
- 심층면접
- 개인 기록의 분석
- 참여관찰
- 포커스 그룹
3) 장점
- 풍부하고 자세한 사실의 발견
- 문제에 대해 새로운 시각 제공
- 조사설계 융통성, 저비용
4) 단점
- ‘주관적’ 인상
- 재정지원과 출간 어려움
- 일반화의 어려움
- 효율성 입증, 실천 어려움
3. 질적 조사와 양적 조사의 비교
구분 | 질적 조사 | 양적 조사 |
특성 | - 주관적 - 방법, 연구 디자인 융통성 - 가설 없이 시작 - 탐색적 성격 - 학습자로서 연구자의 역할 - 작은 표본 - 자연스러운 실제 환경 |
- 개관적 - 융통성 적음 - 설명적 성격 - 구체적인 이론적 배경 - 전문가로서의 연구자의 역할 - 규모가 큰 표본 - 비교적 구조화된 환경 |
자료수집방법 | - 관찰 - 심층면접 - 개인 기록의 분석 - 참여관찰 - 포커스 그룹 |
- 개입 - 실험 - 구조화된 설문지 |
척도활용 | - 척도활용이 낮음 | - 척도활용이 높음 |
목적 | - 주로 어떤 주제, 관계 및 패턴발견 | - 주로 가설 검증이 목적 |
장점 | - 심층적, 풍부한 사실 발견 - 문제에 대한 새로운 시각 제공 - 조사설계 및 자료 수집의 융통성 - 작은 표본에도 가능 |
- 객관적, 일반화할 수 있는 결과 산출 - 재정 지원, 출판 용이 - ‘hard’데이터 구축 가능 |
단점 | - ‘주관적’이라는 인상 - 조사결과 일반화 어려움 - 효율성 입증, 실천 미흡 - 재정 지원, 출간 어려움 |
- 구체적이지 못한 경향 - 조사연구자의 장이 덜 자연스러움 - 모든 결과를 계량화 |
학습정리
1. 질적 조사의 개념
- 질적 조사방법의 기원
- 질적 조사의 의미와 필요성
2. 질적 조사의 특성
- 특성
- 자료수집 방법 ; 관찰, 심층면접, 개인기록의 분석, 참여관찰, 포코스 그룹
- 장점, 단점
3. 질적 조사와 양적 조사의 비교
- 특성
- 자료수집방법
- 장점, 단점
- 척도 활용 정도, 목적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조사론 강의정리 : 이은자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1-2사회복지 조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적 조사의 신뢰도와 타당도 (0) | 2022.06.21 |
---|---|
질적 조사의 실행 (0) | 2022.06.21 |
프로그램 평가의 유형 (0) | 2022.06.21 |
프로그램 평가의 과정 (0) | 2022.06.21 |
프로그램 평가의 목적 (0) | 2022.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