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질적 조사의 자료 수집 방법
1) 관찰(observation)
- 어떤 행동, 사회적 과정 또는 특정 개인을 조사하기 위해 드러나지 않는 곳에서 연구 대상을 면밀히 관찰
- 관찰자가 꼭 숨을 필요는 없으나 관찰자의 존재가 관찰 대상자의 정상적인 활동에 변화를 야기해서는 안됨
2) 심층면접(in- depth interview)
- 조사대상자와 보다 깊이 있는 내용을 인터뷰
- 개방적 질문활용
- 연구 대상자의 경험, 관계 및 세계관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도록 유도함
3) 개인 기록의 분석
- 편지, 일기, 자서전 등을 연구 대상자의 내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정보원으로 사용
4) 참여관찰(participant observation)
- 조사대상자와 함께 생활하며 밀착 관찰
- 소극적 관찰 : 상호작용하거나 직접 그 상황에 참여하지 않음. 개입이전 예비단계로 시행하기도 함
- 능동적 관찰
- 완전 참여관찰 : 집단의 구성원이 됨
5) 포커스 그룹(focus groups)
- 보통 6~8명이 그룹 형성
- 주제에 대한 상호작용을 유발함으로써 참가자로 하여금 제안 및 의견을 도출하도록 하여 자료 수집
- 장점 : 어떤 이슈에 대해 참가자들의 다양하고 폭넓은 정보를 자유롭게 얻을수 있음.
2. 포커스 그룹의 진행과정
조사 문제, 구체적 질문 정하기 |
⇓
참여자 정하기 |
⇓
6~8명을 수용할 수 있는 조용하고 적당한 공간마련 |
⇓
집단에서 질문을 제기하고 이끌어갈 조정자 정하기(moderator) |
⇓
녹음 및 녹화 장비 비치, 기록 보조원 배치 |
⇓
실행 |
⇓
데이터 분석(최소한의 핵심사항과 주요 주제 파악) |
3. 질적 조사의 유형
1) 근거이론(ground theory)
- 체계적으로 수집되고 분석된 자료를 상호 비교, 검토함으로써 이론을 추출하는 방법
2) 사례연구(case studies)
- 개별적인 사례에 관한 정보, 즉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조직화하는 방법
3) 문화기술학적 조사연구(ethnographic studies)
- 관찰, 몰입, 비공식적 대화, 참여 등을 통해 관찰
- 대상자의 관점에서 집단의 문화를 이해하는 방법
4) 참여행동조사연구(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 문제인식과 해결과정에서 조사자와 참여자가 함께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책을 강구하는 조사방법
.
학습정리
1. 질적 조사의 자료 수집 방법
- 관찰
- 심층면접
- 개인 기록의 분석
- 참여관찰
- 포커스 그룹
2. 포커스 그룹의 진행과정
- 조사문제, 질문정하기 – 참여자 정하기- 공간 마련하기 – 조정자 정하기 – 녹음 및 녹화장비, 기록 보조원 배치 – 실행 – 데이터 분석
3. 질적 조사의 유형
- 근거이론연구
- 사례연구
- 문화기술학적 조사연구
- 참여행동조사연구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조사론 강의정리 : 이은자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1-2사회복지 조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차적 자료 수집 (0) | 2022.06.21 |
---|---|
질적 조사의 신뢰도와 타당도 (0) | 2022.06.21 |
질적 조사의 개념 (0) | 2022.06.21 |
프로그램 평가의 유형 (0) | 2022.06.21 |
프로그램 평가의 과정 (0) | 2022.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