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질적 조사의 신뢰도와 타당도
1)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
가. 장기간의 관계 유지
- 조사하고자 하는 문화 및 집단에 대해 학습할뿐만 아니라 학습하고 이해한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충분한 시간을 투자해야 함
나. 지속적인 관찰
- 매일매일 관찰하고 그 관찰한 것을 지속적으로 기록해야 함
다. 다각화
- 자료 수집에서 어떤 오류나 일관적이지 못한 것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출처와 방법, 여러 관찰자를 활용해야 함.
라. 기타
- 동료의 조언과지지
- 예외적 사례의 분석
- 모든 기록의 유지 등
2) 질적 조사연구의 유용성을 검토하기 위한 질문
- 연구 결과가 일반적인 기존의 지식과 일치하는가?
- 하나의 연구로서 논리적이며 구조적으로 타당한가?
- 연구에 깊이가 있는가? 아니면 피상적이고 단순한 것인가?
- 연구 결과가 활용 가치가 있으며, 학술적으로 또는 실천적으로 기여하는 바가 있는가?
- 연구 결과가 새로운 사실의 발견이라는 의미가 충분한가?
- 연구의 내용이 풍부하며 통찰력을 제시하고 있는가?
2. 질적 조사에 대한 논쟁
- 질적 조사와 양적 조사의 유용성에 대한 논란이 있음
- 두 가지 조사방법 모두 과학적 접근방법으로 유용함
- 현상에 대한 이해에서 양적 접근과 질적 접근은 모두 나름대로 한계가 있음
- 사회복지사는 두 가지 방법 모두를 사회복지실천에 유익하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함
★ 질적 방법과 양적 방법을 통합가능
학습정리
1. 질적 조사의 신뢰도와 타당도
-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 : 장기간의 관계 유지, 지속적인 관찰,자료수집 및 분석 다각화
2. 질적 조사에 대한 논쟁
- 질적 조사와 양적 조사의 유용성에 대한 논란 : 두 방법 모두 과학적 접근방법으로 유용함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조사론 강의정리 : 이은자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1-2사회복지 조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존 데이터에 대한 접근 및 분석 (0) | 2022.06.21 |
---|---|
2차적 자료 수집 (0) | 2022.06.21 |
질적 조사의 실행 (0) | 2022.06.21 |
질적 조사의 개념 (0) | 2022.06.21 |
프로그램 평가의 유형 (0) | 2022.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