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차적 자료수집의 의미
1) 자료의 유형
가. 1차 자료 : 연구자가 직접 수집한 자료
나. 2차 자료 : 기존의 모든 이용 가능한 자료 , 이론적 배경과 가설을 설정하려고 할 때 꼭 검토해야 함.
다. 3차 자료 : 메타분석에서 사용되는 다수의 경험적 조사 논문
2) 2차적 자료 수집
가. 정의
- 조사자가 직접 새로운 자료를 수집하는 대신 이미 존재하고 있는 자료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
- 비관여적 자료수집
나. 2차적 자료의 예시
- 연구자가 검색
- 직접 문의(기관 및 조사자)
- 참고문헌
- 기존 데이터 수집
- 기관양식 등
<도서관 활용>
다. 2차적 자료수집의 의도
- 다른 조사의 결함을 찾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가설을 평가하거나 원래 조사연구에서 탐색하지 않았던 질문을 탐색하려는 것
※ 1차적 자료수집은 조사대상자가 조사자의 의도나 목적, 또는 조사환경에 의하여 반응성을 보일 수 있음. 이로 인해 객관적 데이터 수집에 영향을 줄 수 있음. 대표적 반응성 : 호손효과(Hawthorne Effect)
2. 2차적 자료 수집의 장· 단점
1) 장점
- 자료수집을 위한 시간과 노력 절약
- 기존의 자료 수집에서 발생하였던 편향이 이미 알려져 있어 인정되고 수용된 상태
- 조사자가 미치는 영향, 즉 조사 대상자의 반응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됨
- 장기간의 변화 분석과 비교조사 가능
2) 단점
- 중요한 역사적 기록이 훼손 될 가능성 있음(화재, 태풍, 홍수 등의 천재지변,곤충이나 동물들에 의한 훼손)
-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존 데이터와 현실 사이의 차이 존재
- 자료의 신뢰도에 문제가 있을 수 있음
- 최신 데이터를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음
학습정리
1. 2차적 자료 수집의 의미
- 2차적 자료 수집의 정의
- 2차적 자료 수집의 의도
2. 2차적 자료 수집의 장·단점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조사론 강의정리 : 이은자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1-2사회복지 조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차적 자료 수집과 내용 분석 (0) | 2022.06.21 |
---|---|
기존 데이터에 대한 접근 및 분석 (0) | 2022.06.21 |
질적 조사의 신뢰도와 타당도 (0) | 2022.06.21 |
질적 조사의 실행 (0) | 2022.06.21 |
질적 조사의 개념 (0) | 2022.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