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내용 분석의 대상과 방법
1) 내용 분석의 대상과 방법
가. 분석대상
- 인간의 의사소통이 담겨 있는 기록물
- 출판물, 공문서, 연설문, 신문, TV, 영화, 개인적 편지, 일기 등 역사적인 기록물에 포함된 핵심 단어나 문장 또는 주제
나. 분석방법
- 객관적인 방법을 활용하며 범주화, 개량화
- 단어나 문장의 사용 빈도를 계산하거나 신문기사의 크기나 연설 내용 중 특정 주제를 언급한 시간 등을 측정하여 다른 사람도 반복 측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
- 질적인 내용을 양적 자료로 전환하는 방법임
2) 내용분석법의 특징
- 의사전달의 내용(메시지)이 분석대상임
- 문헌연구의 일종임
- 의사소통의 드러난 내용뿐만 아니라 숨은 내용도 분석대상임
- 객관성, 체계성, 일반성 등 과학적 연구방법의 요건을 갖춰야 함
- 양적인 분석방법과 질적인 분석방법 모두를 사용함
3) 내용분석법의 분석단위
- 범주 : 분석하고자 하는 내용의 전체를 분석하고자 하는 기준 또는 분류기준을 말함
- 분석단위 : 연구문제와 관련해서 내용 범주에 넣어서 집계하고, 기술적 또는 설명적으로 진술할 수 있는 의사소통의 단위를 말함. 단어, 주제, 인물, 문단(문장)과 단락, 사항(항목/품목), 공간 또는 시간
2. 내용 분석의 진행과정
1) 조사 질문 및 가설의 설정
- 연구 주제의 선정과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을 구체적으로 조작화해야 함
2) 분석 대상의 결정
- 분석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자료가 무엇인가를 생각하고, 이를 기준으로 연구 주제에 매우 밀접하고 자료 수집이 용이한 자료를 선정함
- 분석하고자 하는 내용의 분류 기준 및 범주를 생각함
3) 분석 단위 결정 및 표본 추출
- 분석 단위로는 단어, 주제, 문단, 인물 등이 주로 사용 되며, 그 존재 유무, 빈도, 비중 등을 분석함
- 자료가 방대할 때는 표본추출을 통해 분석 자료를 압축함
4) 데이터의 범주화 및 계량화
- 데이터를 범주화할 때는 포괄성과 상호 배타성의 원칙을 지키며, 구체적으로 드러난 명시적 분류뿐만 아니라 자료속에 내재되어 있는 잠재적 의미를 찾는것도 중요함
5) 신뢰도 검증
- 다른 사람이 같은 내용을 코딩 및 계량화하여 상호 비교함
3. 내용 분석의 장·단점
1) 장점
- 비관여적
- 시간과 비용 면에서 경제적
- 많은 분량의 데이터 활용
- 분석상의 실수 수정이 용이(완전성 확보)
2) 단점
- 명백히 드러난 내용과 숨겨진 내용을 구분, 평가하기 어려움
- 내용 분석은 인과 관계를 증명하기에 적절하지 않음
- 타당도 확보의 어려움
- 기록된 자료에만 의존
학습정리
1. 내용 분석의 대상과 방법
- 분석대상 : 인간의 의사소통이 담겨 있는 기록물
- 분석방법 : 범주화, 개량화
2. 내용 분석의 진행과정
- 조사 질문 및 가설설정 → 분석 대상의 결정 → 분석 단위 결정 및 표본추출 → 데이터의 범주화 및 계량화 → 신뢰도 검증
3. 내용 분석의 장점과 단점
- 장점 : 비관여적, 시간과 비용 면에서 경제적, 많은 분량의 데이터 활용, 안정성 확보
- 단점 : 명백히 드러난 내용과 숨겨진 내용 구분 어려움, 인과관계 증명 불가능,타당도 확보 어려움, 기록된 자료만 의존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조사론 강의정리 : 이은자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1-2사회복지 조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술통계와 분석, 가설 검증 (0) | 2022.06.21 |
---|---|
통계 분석의 분류 (0) | 2022.06.21 |
기존 데이터에 대한 접근 및 분석 (0) | 2022.06.21 |
2차적 자료 수집 (0) | 2022.06.21 |
질적 조사의 신뢰도와 타당도 (0) | 2022.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