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정 및 편성
3. 사정 “조정자가 행하는 사정” ○ 첫째, 클라이언트의 전체적인 상황에 대한 사정 • 의사, 간호사, 교사 등 타 영역의 전문가일 경우 사정의 시각이 사회복지사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 클라이언트, 가족, 친구, 이웃 등으로부터 의뢰된 경우 조정자가 직접 면접과 가정방문을 통해 전체 상황 파악 • 서비스에 대한 요구뿐만이 아니라 need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 • 자원봉사자가 관여할 부분과 방법을 결정하고, 최종적으로는 클라이언트와의 대화를 통해 결정함 • 관계기관이나 사회복지사 등과의 연락, 협동, 가족의 협조 등의 방향성을 계획하고, 클라이언트의 의견을 확인해 가며 수행해야 함 둘째, 클라이언트의 상황 가운데서 자원봉사자가 관여할 과제에 대한 사정 • 왜 자원봉사자가 그 부분을 맡는가? • 어..
자원봉사의 운영체계
운영체계 • 우리나라에서 가장 대표적인 자원봉사 운영체계는 자원봉사센터 • 지역주민의 자원봉사활동을 체계적으로 통합하고 활성화하기 위해서 설치ㆍ운영된 것 • 자원봉사센터는 수요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 공급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 조정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로 구분할 수 있음 자원봉사를 직접 활용하는 사회복지서비스기관 : 종합사회복지관 재가복지센터, 사회복지 관련 시설, 병원 의료사회 사업실, 상담기관, 시민사회 단체 민간 형태의 비사회사업적 영역에서 자원봉사를 활용하고 있는 기관. 교육기관 (대학, 중ㆍ고교 사회봉사단), 기업, 종교사회봉사 등 공공형태의 자원봉사센터 정부 중앙부처(행정자치부, 보건복지부) 관할의 자원봉사센터 1) 자원봉사센터의 기능과 역할 1) 자원봉사센터의 기능 ① 수급조절 • 자원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