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계
• 우리나라에서 가장 대표적인 자원봉사 운영체계는 자원봉사센터
• 지역주민의 자원봉사활동을 체계적으로 통합하고 활성화하기 위해서 설치ㆍ운영된 것
• 자원봉사센터는 수요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 공급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 조정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로 구분할 수 있음
자원봉사를 직접 활용하는 사회복지서비스기관
: 종합사회복지관 재가복지센터, 사회복지 관련 시설, 병원 의료사회 사업실, 상담기관, 시민사회 단체
민간 형태의 비사회사업적 영역에서 자원봉사를 활용하고 있는 기관.
교육기관 (대학, 중ㆍ고교 사회봉사단), 기업, 종교사회봉사 등
공공형태의 자원봉사센터
정부 중앙부처(행정자치부, 보건복지부) 관할의 자원봉사센터
1) 자원봉사센터의 기능과 역할
1) 자원봉사센터의 기능
① 수급조절
• 자원봉사활동 담당자의 주축이 되는 직무
• 자원봉사활동을 희망하는 사람에게 활동 소개, 자원봉사자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자원봉사자를 소개하는 일
• 수급조절을 위한 담당자의 역할은 다양, 각각의 상대에 따른 적절한 대응이 요구되는 기능
② 기록 • 등록
• 원활한 수급조정을 위하여 자원봉사자나 자원봉사활동 그룹의 희망이나 활동에 관한 내용, Client에 대한 희망내용, 사회자원 등을 파악
• 문제해결을 위한 방법을 찾고, 적절한 상담 및 원조 방법을 검토하는 기능.
• 담당자의 업무 인수ㆍ인계에 필수적인 기능
③ 자원봉사활동의 지원
• 자원봉사자나 자원봉사활동 그룹이 효과적인 활동을 위해
• 자원봉사활동 과정에서 생기는 고민의 상담, 기자재나 자료의 대여, 정보제공
• 자원봉사자 보험의 가입 추진 등의 다양한 지원을 하는 기능
④ 양성 • 연수
• 자원봉사활동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 자원봉사자의 의식과 인간성을 높이고 기술을 연마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 양성ㆍ연수 기능의 적절한 제공을 위해 자원봉사활동센터 직접 실시 외 타기관, 단체에서 실시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함
⑤ 홍보 • 계발
• 자원봉사활동을 확인ㆍ정리, 활동의 방향성을 제시,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자원봉사활동을 이해시키기 위한 기능
• 홍보ㆍ계발 기능은 살기 좋은 마을 만들기를 추진하는데 있어 주민에 대한 복지교육 차원에서 점점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는 기능
⑥ 네트워크화
• 수급조정을 하는 가운데 파악한 욕구에 대하여 필요한 자원봉사활동을 선구적으로 만들어 내어 육성, 지역 단위의 자원봉사활동을 네트워크화 해나가는 기능
• 다양한 교류를 통하여 자원봉사활동이 효과적으로 추진되도록 협동 체제를 만들어 가는 기능
⑦ 조사 • 연구
• 지역사회 자원봉사활동의 효과적 추진을 위해 자원봉사활동을 하려는 인재를 발굴하고, 활동내용을 발전시키기 위해 수행되는 기능
• 조사ㆍ연구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담당자 외 사회복지협의회의 전문가, 지역사회의 자원봉사자, 관계기관과 협력 및 분담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음
2) 자원봉사센터의 역할
※ 이강현(1997)
• 지역사회 내의 자원봉사활동을 조정하는 중심기관으로서의 역할
• 지역사회 중립기관으로 지역사회의 문제해결을 위해 다수의 자원봉사자를 동원하는 역할
• 자원봉사자와 그 수요처를 연결시켜 주는 매개자의 역할
• 지역 내의 언론을 통해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일반시민들에게 홍보하는 역할
• 수요처의 관리자들을 교육, 훈련시키며 그들의 문제해결을 위해 상담을 하는 수요처의 지원 역할
※ 박태영 외(2008)
(기능중심)
• 수급
• 안내(상담)
• 기록 및 등록
• 기자재ㆍ장소 대여
• 인정 및 보상
• 상담ㆍ조언
• 육성ㆍ조직
• 교육ㆍ훈련
• 연수
• 홍보
• 계발
• 연계망 구축
• 교류
• 조사ㆍ연구
• 프로그램개발
3) 자원봉사센터의 현황
① 지역자원봉사센터
• 행정자치부 지침을 근거로 설치시작(1996년), 2020년 현재 전국 246개 자원봉사센터 운영
• 운영형태 : 지방자치단체 직영 53.9%, 위탁운영 형태 20.4%, 법인운영 25.7%
• 자원봉사 인프라 구축,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개발 등의 다양한 노력 필요
• 상담, 모집, 훈련, 프로그램 개발, 감독, 평가 등
• 관영 및 관주도의 센터가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음
• 최저한의 직원 배치로 인한 형식적 운영 가능성
• 부족한 예산 배정 등의 문제가 제기되었음
• 지역 관련 단체와의 연계ㆍ협력과정에 미비함이 제기됨
• 자원봉사센터 설립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 운용체계의 개선과 전문인력의 확보
- 적절한 예산의 배정, 네트워크 기능 강화 등 선행
○ 자원봉사 등록현황
연도 | 등록인원수 | 전년대비 증가율 |
2013 | 9,533,237 | - |
2014 | 10,295,143 | 8.0% |
2015 | 11,383,726 | 14.9% |
2016 | 11,024,321 | -3.2% |
2017 | 12,016,428 | 9.0% |
2018 | 12,831,501 | 6.8% |
2019 | 13,794,152 | 7.5% |
○ 자원봉사 성별 현황
연도 | 총계 | 성별 | |
남 | 여 | ||
2013 | 2,642,529 | 1,078,015 | 1,564,514 |
2014 | 3,174,876 | 1,285,334 | 1,889,542 |
2015 | 3,746,577 | 1,524,916 | 2,221,661 |
2016 | 4,590,079 | 1,877,828 | 2,712,251 |
2017 | 4,876,669 | 1,882,352 | 2,994,317 |
2018 | 4,290,985 | 1,717,225 | 2,573,760 |
2019 | 4,191,548 | 1,657,165 | 2,534,383 |
○ 자원봉사 연령별 현황
연도 | 총계 | 연령별 | ||||||
14세미만 | 14~19세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이상 | ||
2016 | 30,030,295 | 1,257,744 | 6,187,033 | 2,951,229 | 1,909,391 | 5,661,098 | 6,345,175 | 3,891,774 |
2017 | 31,382,487 | 1,391,440 | 6,684,643 | 3,140,329 | 1,850,804 | 5,601,169 | 6,369,815 | 4,220,514 |
2018 | 30,619,226 | 1,395,928 | 7,054,726 | 3,094,812 | 1,657,070 | 5,005,498 | 6,117,920 | 5,667,421 |
2019 | 29,129,700 | 1,546,723 | 7,110,489 | 3,077,296 | 1,412,335 | 4,419,436 | 5,533,433 | 4,174,383 |
○ 자원봉사 분야별 현황
연도 | 총계 | 생활편의 | 주거환경 | 상담 | 교육 | 보건의료 |
2016 | 30,030,295 | 7,329,971 | 1,139,549 | 297,644 | 2,435,928 | 378,373 |
2017 | 31,382,487 | 7,731,764 | 1,300,195 | 295,828 | 2,184,561 | 406,840 |
2018 | 30,619,226 | 7,502,257 | 2,804,448 | 309,062 | 1,908,674 | 388,545 |
2019 | 29,129,700 | 6,980,240 | 856,590 | 310,535 | 1,776,892 | 408,926 |
○ 자원봉사 분야별 현황
연도 | 총계 | 농어촌 | 문화행사 | 환경보호 | 행정보조 | 안전·방범 |
2016 | 30,030,295 | 268,373 | 3,355,664 | 2,707,063 | 3,355,664 | 3,355,664 |
2017 | 31,382,487 | 235,708 | 2,884,211 | 1,787,184 | 1,823,917 | 4,954,245 |
2018 | 30,619,226 | 189,077 | 3,444,343 | 2,094,078 | 1,913,451 | 4,515205 |
2019 | 29,129,700 | 112,498 | 1,354,353 | 1,794,812 | 1,976,442 | 4,114,752 |
○ 자원봉사 분야별 현황
연도 | 총계 | 인권·공익 | 재해·재난 | 국제협력 | 멘토링 | 기타 |
2016 | 30,030,295 | 82,274 | 126,053 | 232,045 | 333,660 | 5,196,108 |
2017 | 31,382,487 | 90,258 | 144,626 | 113,227 | 153,113 | 5,564,384 |
2018 | 30,619,226 | 107,588 | 88,623 | 88,752 | 130,986 | 6,339,361 |
2019 | 29,129,700 | 120,787 | 50,676 | 79,931 | 339,586 | 6,559,680 |
② 사회복지정보센터
• 보건복지부가 설치ㆍ운영하고 있는 자원봉사센터로 한국사회복지협의회 부설로 설치
• 1978년 사회봉사안내소로 시작, 자원봉사활동 정보 제공의 기능
• 지역복지봉사센터로 설치ㆍ운영, 재가봉사복지센터 설립의 기초
• 1994년에 자원봉사정보안내센터로 명칭을 변경, 사회복지분야 자원봉사활동을 통합관리 운영
• 2001년 사회복지정보센터로 명칭과 기능이 변경ㆍ전환되어 사회복지 분야의 통합된 정보제공 기능 담당
• 2001년 11월 사회복지봉사활동 인증관리사업(VMS) 시행, 개인별 활동실적 인증, 관리하며 인센티브제공
• 전국의 사회봉사단체 가입, 자원봉사 실적 적립하여 전산 관리됨
사회복지 종합정보망 사업 “정보를 나눕시다”.
• 다양한 사회복지 관련 정보를 하나의 종합정보망으로 모아 지역사회주민이 원하는 정보를 신속, 정확하게 찾아볼 수 있는 시스템
• 사회복지시설 찾기, 복지정보, 구인정보, 자원봉사, 사회복지 정보가이드북, 사회복지편람 등이 있음
사회복지 교육ㆍ훈련사업 “알기 쉬운 사회복지”
• 지역주민 대상 사회복지 관련정보를 시민에게 교육·홍보, 사회복지에 대한 관심과 지지를 높여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사업
• 사회복지시민대학, 청소년사회복지교육, 초등사회복지교육 등이 있음
사회복지 자원봉사인증관리사업 “따뜻한 사랑의 손길”
• 보건의료, 기업, 공공기관 및 사회복지법인·단체 등의 소속 자원봉사자의 봉사 실적을 관리·인증해 주는 전국 단일 네트워크 자원봉사시스템
• 자원봉사 안내전화(1688-1090), 자원봉사 상해보험 가입, 우수인증센터 현판보급, 배지 지급, 자원봉사대회 유공자 표창 등
③ 청소년활동진흥센터
•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의 조직적ㆍ체계적지원을 위해 1996년 청소년자원봉사센터로 설치되었음
• 체험, 문화, 수련활동 및 수련활동인증제, 종합적인 청소년활동 정보제공 등
청소년활동에 대한 one-stop service 제공을 위해 2006년 청소년활동진흥센터로 확대ㆍ개편되었음
• 청소년활동진흥법에 근거하여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과 시ㆍ도의 지방청소년활동진흥센터로 운영되고 있음
4) 자원봉사센터의 활성화 방안
(1) 민간중심 운영체계로의 개선
• 관 직영, 관 주도는 시민 영역에 대한 정부의 과도한 개입을 유발하여 시민참여를 저해
• 우리나라의 경우 상당수의 지역자원봉사센터, 청소년활동진흥센터가 관 주도의 체제로 운영
• 자원봉사센터의 관 중심 체제로부터의 탈피, 전문성을 가진 민간영역의 참여 확대
(2) 자원봉사 예산의 확대와 효율적인 집행
• 재정적인 열악성은 초기부터 대두됨
• 민간센터의 경우, 관리조정자의 높은 이직률 야기 등 전문성 축적을 불가능하게 하고 있음
• 중앙정부의 예산지원과 지방자치단체장의 적극 지원이 미약한 실정
• 정부의 자원봉사센터 재원확보를 위한 지속적 노력 필요
(3) 자원봉사센터 내 기존 인력의 교육과 전문인력의 배치
• 자원봉사센터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자원봉사활동을 조정ㆍ관리할 수 있는 전문인력의 배치가 중요함
• 공무원 배치로 자원봉사활동을 일반 행정수준에서 다루고 있으며 전문인력 채용을 원천적으로 봉쇄하고 있음
• 전문인력의 부재는 참여 자원봉사자의 심리사회적 지지체계의 부재, 지역사회복지 역량 쇠퇴시킴
• 자원봉사센터 내 기존 인력에게 자원봉사 관련 전문교육ㆍ훈련을 실시, 전문인력 채용의 제도화도 병행
(4) 자원봉사센터 유형에 따른 특성화와 기능 확립
• 자원봉사센터 조직의 가장 큰 문제점은 정부 소관 부처별로 설치하고 지원하는 조직체계에 있음
• 센터별로 이용 대상이 달라 종합적인 지원체계로서의 자원봉사센터의 기능 수행에 한계 내포
• 자원봉사센터별 특성화, 전문화에 기초한 적정한 역할 설정이 이루어져야 함
• 다양한 자원봉사활동의 개발ㆍ전파와 체계적인 자원봉사관리체계를 구축하는 등의 기능 정립이 필요
(5) 자원봉사센터 간의 유기적인 협력관계 구축
• 조정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 수요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 공급자 중심의 자원봉사센터의 유기적인 협력이 필수적임
•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기초로 센터별 적절한 역할설정으로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를 기할 수 있을 것임
•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자원봉사센터 간 역할교류가 필수적임
• 센터별 고유한 역할 설정과 적절한 수행, 협력관계를 유지할 때 센터 간 네트워크가 적절하게 기능할 수 있음
학습정리
운영 체계
◆ 자원봉사센터의 기능과 역할
(1) 자원봉사센터의 기능
• 수급조절 / 기록 ∙ 등록 / 자원봉사활동의 지원
• 양성 ∙ 연수 / 홍보 ∙ 계발 / 네트워크화 / 조사 ∙ 연구
(2) 자원봉사센터의 역할
• 수요처의 관리자들을 교육, 훈련시키며 그들의 문제해결을 위해 상담을 하는 수요처의 지원 역할
• 자원봉사자와 그 수요처를 연결시켜 주는 매개자의 역할
(기능중심)
• 연수
• 홍보
• 수급
• 안내(상담)
• 기록 및 등록
• 계발
• 기자재ㆍ장소 대여
• 연계망 구축
• 인정 및 보상
• 교류
• 상담ㆍ조언
• 육성ㆍ조직
• 교육ㆍ훈련
• 조사 • 연구
• 프로그램개발
(3) 자원봉사센터의 현황
① 지역자원봉사센터
- 자원봉사등록현황 -성별현황 -연령별 현황 -분야별 현황
② 사회복지정보센터
• 사회복지 종합정보망 사업 ‘정보를 나눕니다’
• 사회복지 교육ㆍ훈련사업 ‘알기 쉬운 사회복지’
• 사회복지 자원봉사인증관리사업 ‘따뜻한 사랑의 손길’
③
(4) 자원봉사센터의 활성화 방안
• 민간중심 운영체계로의 개선
• 자원봉사 예산의 확대와 효율적인 집행
• 자원봉사센터 기존 인력의 교육과 전문인력의 배치
• 자원봉사센터 유형에 따른 특성화와 기능 확립
• 자원봉사센터 간의 유기적인 협력관계 구축
부산디지털대학교 <자원봉사론> 강의정리 : 오주 교수 2022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자원봉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원봉사조정자의 기능 (0) | 2022.09.04 |
---|---|
자원봉사조정자의 정의 (0) | 2022.09.04 |
자원봉사의 법적체계 (0) | 2022.09.04 |
자원봉사의 추진체계 (0) | 2022.09.04 |
한국의 자원봉사활동 (0) | 2022.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