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의료사회 복지실천

(39)
병원 & 재가건강보호서비스 1. 병원 내 Client 문제와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 1) 병원의 구분 가. 개인의원 ▶ 일반적 질환 치료에 훈련된 일반의 ▶ 슈퍼비전 - 최소화 협의진료 의뢰 - 간헐적 동료들과 교류 - 비활성화 ex) 단독 개원 나. 집단외래 세팅 ▶ 여러 명의 일반의 – 대기실 & 진료실 & 검사실 공유하는 형태 ▶ 다른 세부 전문의 – 다른 전문 영역 기술 보완하는 형태 ▶ 제 3자(대학, 노동조합, 사업체, 공장)가 집단으로 의사고용 - 구성원에게 의료서비스 제공하는 형태 다. 병원 세팅 ▶ 지역사회 건강보호체계의 중심 역할 ▶ 다양한 직종 & 인력 고용 & 검사실 & 특수 치료 장비 입원시설 & 고도의 기술을 갖춘 의료 인력 · 사회복지가 본격적으로 진입한 건강보호분야 : 종합병원 ① 1800년대 중반, 빈..
건강보호 세팅 1. 1차 건강보호 세팅에서 Client의 주요문제 · 의료사회복지 서비스 제공되는 세팅 특성에 따라 구분 · 이에 따른 의료사회복지사 역할 다양 1) 1차 건강보호의 개념 ✔ 기초의학 & 공중보건 & 예방의학 개념 혼용사용 ✔ 공중보건, 1차 건강보호의 개념 불분명 ✔ 공중보건, 1차 건강보호의 유사점 & 차이점 존재 구분 공중보건 1차 건강보호 유사성 • 건강증진& 질병과 장애의 예방 위해 교육, 정보 제공 • 조기개입을 위해 점검, 스크리닝 제공 초점 지역사회 기초한 예방 개인 사회복지사의 역할 입법과정 통한 옹호자 역할 강조 건강 관련 심리, 사회적 문제 규명 · 건강보호체계의 문지기(gatekeeper) 역할 - 의료에 최초 진입 · 건강증진 & 질병예방 & 건강서비스(신체적+정신적) 통합 위한..
중간단계 & 종료 단계 1. 중간단계 – 개입실행 & 점검 √ 중간단계 : 목표 달성 위해 개입 활동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시기 √ 사회복지사의 역할 ① 설정된 문제 해결을 위한 계획 실행 ② 문제 해결과정에 대한 진행 점검 - 점검 결과 : 목표달성이 불가능할 경우 목표 수정 & 실행 계획 변화 1) 개입실행(intervention practice) -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 ① 중개자, 조력자, 교사, 중재자, 옹호자 역할 (Comptom & Galaway, 1984) ② 클라이언트의 동기 부여 & 자원 연결, 교육, 중재, 조력, 촉진, 상담 (개별, 가족, 집단상담, 위기개입), 사례관리 등 (한인영 & 최현미, 2000) 가. 개입목표 유형별 사회복지사의 과업 ① 의료적 상태에 대한 인식증진 ② 심리적 역기능과 스트레..
초기 단계(2) 1. 초기단계(2) - 사정 1) 사정(assessment) · 자료수집 - Client 욕구(문제) 이해에 도움되는 많은 자료를 모으는 것 · 사정 - 수집된 자료 - 분석 & 해석 & 종합 -> 환자의 개입 문제를 규명 하는 것 · 부정확한 사정 – 문제해결 or 변화기대 불가 가. 사정(assessment) 진단(diagnosis) 사정(assessment) 명칭 Patient(1920~1960년) Client(1960년이후) 문제원인 미시적(개인) 미시적 + 거시적(환경) 초점 문제(병리) 문제+강점 관점 표적 대상 상호작용(더불어) 대상 · 의료분야 : 국제질병분류 – WHO(세계보건기구) (ICD :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 정신의학 : 정신..
초기 단계(1) 1. 의료사회복지실천과정의 구분 1) 클라이언트의 문제와 욕구 · Client 의 다양한 욕구 - 한 번의 개입으로 욕구를 만족 시킬 수 없음 -> 단계적 접근 필요 2) 의료사회복지실천의 경우 - 환자, 가족, 집단의 심리·사회적 기능 향상 --> 단계별 과업 수행 3) 의료사회복지실천과정의 단계 구분 단계 Perlman(1957) • 시간의경과에 따라 • 개시기 → 중간기 → 종료기 Hollis(1965) • 문제의 성격에 따라 • 조사단계 → 진단단계 → 치료단계 Bartlett(1978) • 조사단계 → 사정단계 → 치료단계 Germain(1984) • 입원스크리닝, 의뢰 단계 → 기초단계 → 초기 → 진행기 → 종료기 Compton & Galaway(1989) • 관여단계 → 사정·평가단계 → ..
사회복지실천모델의 적용 * 이론(theory) : 현상을 설명하는 기준 --> 추상적 * 모델(model) : 이론을 바탕으로 현상에 개입하는 틀 (개입방법) --> 구체적 1. 과업중심모델 1) 사회복지실천모델의 구분 - 과업중심모델 Task-centered model - 권한부여모델 Empowerment model - 위기개입모델 Crisis intervention model 2) 역사적 배경과 개념 · 1960년대 단기 치료 운동에서 성장 - 사회복지실천 효과성 강조 시기 · 전통적인 개별 사회사업의 비판 - 효과성 입증 어려움 · 보다 집중적 & 구조화된 개입 형태 희망 · 시간 제한적인 단기 치료에 대한 관심 고조 -> 이론보다는 경험적 치료적 접근 필요성 대두 3) 과업중심모델의 특징 · Client의 자기결정 - ..
사회복지실천 이론 1. 행동주의이론 1) 행동주의이론의 전제 - 인간은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 - 관찰 가능한 행동과 환경 분석 -> 클라이언트 욕구 충족 위해 구체적 & 정확한 문제의 규정 변화 목표 & 개입 과정 강조 - 인간의 행동 = 현재까지 학습의 총합 - 고전적 조건형성(Pavlov), 조작적 조건형성(Skinner) 2) 주요개념 가. 고전적 조건형성 - 1900년대, 러시아 생리학자 Pavlov - 자극에 대한 반응이 연합하여 일어날 때, 인간이 어떤 행동을 학습할 수 있다 는 이론 (자극 → 반응) · 먹이 : 무조건 자극(unconditioned stimulus: UCS) · 종소리 : 중립자극(neutrality stimulus: NS) 조건자극(conditioned stimulus : CS) ·..
의료사회복지사가 알아야 할 지식 1. 의료사회복지사가 알아야 할 지식 = 사회복지의 일반적 지식 + 의료적 특성에 관한 지식 => 효율적 팀 워크 활동 & Client 특성에 따른 전문적 개입 1) 사회복지의 일반적 지식 ① 생태체계적 관점 ② 사회복지방법론 숙지 - 개별사회사업, 집단사회사업, 지역사회조직, 사례관리, 사회조사 등 ③ 대상(개인, 가족, 집단, 지역사회 등)과 문제(알코올중독, 학대, 빈곤 등)에 대한 이해 ④ 평가와 기록에 대한 이해 ⑤ 정신분석학, 행동주의 인지주의 ⑥ 문제해결모델, 위기개입모델, 단기개입모델, 가족치료, 과업중심모델 등 2) 의료적 특성에 관한 지식 ① 질병에 관한 지식(특성) ② 질병에 관한 의학용어에 대한 숙지 ③ 질병 진행에 따른 환자(가족) 대처 양상 ④ 스트레스와 스트레스의 작동기제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