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론(theory) : 현상을 설명하는 기준 --> 추상적
* 모델(model) : 이론을 바탕으로 현상에 개입하는 틀 (개입방법) --> 구체적
1. 과업중심모델
1) 사회복지실천모델의 구분
- 과업중심모델 Task-centered model
- 권한부여모델 Empowerment model
- 위기개입모델 Crisis intervention model
2) 역사적 배경과 개념
· 1960년대 단기 치료 운동에서 성장
- 사회복지실천 효과성 강조 시기
· 전통적인 개별 사회사업의 비판
- 효과성 입증 어려움
· 보다 집중적 & 구조화된 개입 형태 희망
· 시간 제한적인 단기 치료에 대한 관심 고조 -> 이론보다는 경험적 치료적 접근 필요성 대두
3) 과업중심모델의 특징
· Client의 자기결정
- 시간 제한적인 단기치료
- Client와 사회복지사가 표면적으로 계약한 구체적 문제해결에 초점
- Client 의 문제 해결 활동은 동의한 과제 중심
- Client 스스로 실행 가능한 과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
4) 과업중심모델의 실천과정
- 초기 단계 : 문제확인과 계약
① 문제확인
· 표적문제 규명 (Client 인정하는 문제 & 변화 원하는 문제)
- Client 자신 노력 통해 해결 가능한 문제 명료화
② 계약 : 서면계약
- 개입에 대한 동의
- Client 자기결정 책임성 & 개입내용의 정확한 이해
- 중간 단계 : 수행 – 과업수행 & 역할극 & 리허설, 점검
- 종결 단계 : 계약에 명시한 종결시기에 따라 종결
5) 의료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적용
- 의료사회복지실천현장은 현장 특성상 단기 개입 요구
- Client 가 인정, 변화되기를 희망하는 문제 중심으로 Client와 협력 중시하는 과 제중심모델 선호
- 사회복지사와 Client 간 달성해야 할 과업
-> 조작화 & 구조화 통해 단기 실천 효과성 극대화
2. 권한부여모델
1) 권한부여모델의 개념
- 문제 중심이 아닌 Client 강점중심
초점 : 가능한 모든 자원 활용 & Client 역량 실현 지원
- 권한부여(Empowerment)
: 클라이언트의 잠재 역량 & 자원 인정 & 탄력성 있음 전제 -> 자신의 삶을 통제할 수 있도록 권한 & 힘을 부여하는 것
2) 이론적 기반
- 생태체계 관점 + 인간에 대한 강점
① 인간 : 성장 & 변화 위한 개별적 잠재능력 有
② Client 체계 : 변화 이끌 수 있는 자원 & 역량 有
③ 새로운 자원 구축 위해 현재 강점 기반 + 상호협력 필요
④ 긍정적 변화 : 미래에 대한 희망 & 가능성 기반
3) 주요 개념
가. 권한부여
- Client의 상황을 환경 안에서 이해 & 자원 & 강점 탐색
- 문제를 없애려 하기보다 해결책 찾아내는데 역점
나. 협력과 파트너쉽
- Client 경험 & 역량 가진 원조 과정의 파트너
- Client 참여 중시 & 변화 노력 전 과정에서 자기결정권 강조
다. 역량
역량 - 인간체계의 구성원을 돌보는 기능 수행하고 다른 체계와 상호작용 통해 사회적·물리적 환경의 자원체계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 |
- 문제의 발생 원인 : 개인 문제를 Client 체계의 결점이 아닌 개인적 역량 & 환경적 요구 사이의 불일치
- 개인의 환경에 대한 대처 역량 향상
라. 의료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적용
- Client 무력감 감소에 효과적
- 의료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다양한 개인 & 집단 활용가능
① 개인 : 정신장애인 & 만성 질환자군
정서장애 아동 & 역기능적 가정 활용
② 집단 : 백혈병 환자 부모회 & 소아 당뇨 부모 모임 이식인 모임 & 자조집단 활용
3. 위기개입모델
1) 위기개입모델의 개념
- 위기상황에 즉각적으로 개입, 단기 전문 원조 제공
- 위기 : 지금까지의 대처 전략으로는 대처할 수 없는 불균형 상태
ex) 외상적 위험 사건
- 위기개입 : 위기로 인한 불균형 상태 회복 위해
- 일정한 원조수단을 개인, 가족, 집단, 지역사회 등에 적용 과정
- 위기의 종류
① 일반적 위기
- 재해 : 천재지변(수재, 지진) & 화재 & 여객기 추락 & 여객선 침몰 & 건물(교량) 붕괴
② 발달적 위기
- 개인, 가족 생애주기에 의한 위기,청소년기 정체성 위기 & 중년의 위기 & 노년의 위기 등
③ 변천적 위기
- 변화의 위기 : 이혼 & 재혼 & 이민 등
④ 상황적 위기
- 신체적 질병 & 자살 & 강간 등
2) 위기개입의 목표와 원칙
가. 위기개입의 목표
① 위기의 증상제거(극심한 고통 & 불안)
② 위기 이전의 기능수준 회복
- 불균형 상태로 만든 촉발 사건에 대한 이해
- Client & 가족이 지역사회자원에서 이용 가능한 치료기제에 대한 고민
- 현재 스트레스를 과거 생애 경험, 갈등과 연결
③ 위기상황 이후에도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적응적 대처기제 개발
나. 위기개입의 원칙
① 신속한 개입
② 행동 : 사회복지사는 적극적 & 행동에 초점
③ 제한된 목표 : 시간제한적 & 1차로 증상 완화
④ 희망과 기대
⑤ 지지 : 실용적 정보 & 확실한 지지
⑥ 초점적 문제해결 : Client 통제 가능 할 만큼 현실 직면
⑦ 자기상 : 건전한 자기상 원조
⑧ 자립 : 참여기회 보장 & 자신감 회복 원조
3) 의료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적용
- 주 대상 :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하여 삶의 균형상태가 훼손된 경우
* 만성질환자에게는 적용하지 않음
ex) 가정폭력 (배우자, 아동) & 성폭력 (강간 등) 약물중독 & 자살 시도
부산디지털대학교 의료 사회복지 실천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의료사회 복지실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기 단계(2) (0) | 2022.07.15 |
---|---|
초기 단계(1) (0) | 2022.07.15 |
사회복지실천 이론 (0) | 2022.07.15 |
의료사회복지사가 알아야 할 지식 (0) | 2022.07.15 |
의료사회복지사의 가치와 윤리 (0) | 2022.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