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의료사회복지실천과정의 구분
1) 클라이언트의 문제와 욕구
· Client 의 다양한 욕구
- 한 번의 개입으로 욕구를 만족 시킬 수 없음 -> 단계적 접근 필요
2) 의료사회복지실천의 경우
- 환자, 가족, 집단의 심리·사회적 기능 향상 --> 단계별 과업 수행
3) 의료사회복지실천과정의 단계
구분 | 단계 |
Perlman(1957) | • 시간의경과에 따라 • 개시기 → 중간기 → 종료기 |
Hollis(1965) | • 문제의 성격에 따라 • 조사단계 → 진단단계 → 치료단계 |
Bartlett(1978) | • 조사단계 → 사정단계 → 치료단계 |
Germain(1984) | • 입원스크리닝, 의뢰 단계 → 기초단계 → 초기 → 진행기 → 종료기 |
Compton & Galaway(1989) | • 관여단계 → 사정·평가단계 → 행동단계 |
2. 초기단계(1)
- 접수와 관계형성 및 자료수집
1) 접수(intake)와 관계형성(rapport)
- 원조과정의 최초 단계 : Client 욕구(문제) 확인
- 기관의 서비스 제공 자격요건 &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 결정 or 전원
① 의뢰(referral)
② 스크리닝(screening)
③ 아웃리치(outreach)
④ 자발적(self referral)
가. 의뢰(referral)
- 협의 진료 (Consultation request)
- 지역사회기관 (Social Network)
나. 스크리닝(screening)
- 서비스 대상 & 조건을 미리 규정 – 입원시
- 조건 부합 시 자동 연계 :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다. 아웃리치(outreach)
- Client 직접 발굴 : 복지서비스 제공서비스 필요함에도 누락자
라. 자발적(self referral)
- 자발적 방문
마. 관계형성(rapport)
- Social Worker & Client 간의 전문적 신뢰관계
- 성공적 개입의 필수조건
: 공감적 & 비심판적 & 비권위적, 수용적 & 온화한 태도 & 진실성
- Client의 특징 : 무력감 & 회의적 & 쉽게 상처
- 양가감정, 문제해결에 도움이 될까? 특히, 비자발적 Client
→ Client 스스로가 문제해결에 적극 참여 위해 필요
2) 자료수집(information gathering)
- Client 욕구(문제) 관련, 객관적 & 다양한 자료 확보
- 기본적 정보수집 : 구조화된 양식 or 사정도구(지능검사 & 심리검사)
가. 기본정보수집
- ct 기본정보 : 이름, 성별, 나이, 결혼관계, 주소, 전화번호, 직업 등
- 가족관계 : 가족 이름, 나이, 직업, 교육 정도, 종교 등
- 생활환경 : 주거환경, 가옥구조, 지역사회 정보 등
- 경제적 상황 : 주 소득원, 소득수준, 재산상태 등
- 성장 배경 : 과거 의미 있는 사건, 또래집단과의 관계 등
- 정서적 상태 : 안정적, 우울 & 분노 & 스트레스 정도, 감정적 기복
나. 주요문제
- “Client의 욕구(문제)는 무엇이며, 언제 부터인가?”
- Client 관점, Family 관점, SW 관점
다. 의무기록
- 병원기록 : 입원일 & 입원사유 및 경로 & 주요 호소내용, 현재 신체 및 의료적 상태 & 건강보험 & 가족관계
- 경과기록 : 과거력 & 치료계획 & 예후 & 수술여부
- 간호기록 : 병실생활정도, 재원 중 문제점 등
라. 기타
- 타 전문가 : 타 의료진과 의견교환
- 객관적 정보 습득
- 행정기록 : 입원 서류 & 원무행정 관계 서류를 통해 거주지 & 보증인 관계 & 보험적용 여부, 입원 특이 사유(산재, 교통사고, 자살, 약물중독 등)
- 가정방문 : 필요한 경우 가정 & 직장 & 학교 & 이웃방문
부산디지털대학교 의료 사회복지 실천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의료사회 복지실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간단계 & 종료 단계 (0) | 2022.07.15 |
---|---|
초기 단계(2) (0) | 2022.07.15 |
사회복지실천모델의 적용 (0) | 2022.07.15 |
사회복지실천 이론 (0) | 2022.07.15 |
의료사회복지사가 알아야 할 지식 (0) | 2022.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