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기단계(2)
- 사정
1) 사정(assessment)
· 자료수집
- Client 욕구(문제) 이해에 도움되는 많은 자료를 모으는 것
· 사정
- 수집된 자료 - 분석 & 해석 & 종합
-> 환자의 개입 문제를 규명 하는 것
· 부정확한 사정 – 문제해결 or 변화기대 불가
가. 사정(assessment)
진단(diagnosis) | 사정(assessment) | |
명칭 | Patient(1920~1960년) | Client(1960년이후) |
문제원인 | 미시적(개인) | 미시적 + 거시적(환경) |
초점 | 문제(병리) | 문제+강점 |
관점 | 표적 대상 | 상호작용(더불어) 대상 |
· 의료분야 : 국제질병분류 – WHO(세계보건기구)
(ICD :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 정신의학 :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 APA(미국정신의학회)
(DSM :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 사회복지 : 임상사회복지사정체계 - NASW(미국사회복지사협회)
(PIE : Person In Environment)
나. 임상사회복지 사정체계 – PIE
- PIE 특징
· 증상보다는 사회적 기능 중심
· 약점보다는 강점 중심
· 통합적 심리사회적 사정
-> 사회적 기능 수행 문제 사정을 위해 개발
요소 Ⅰ | 요소 Ⅱ |
개인 기능 사정 | 환경 문제 사정 |
심각성, 지속기간, 대처능력 | 정도, 지속기간 |
1. 가족원으로서의 역할 2. 타인과의 대인관계 역할 3. 직업적 역할 4. 특수상황에서 개인적 역할 |
1. 경제 & 기본욕구 체계 문제 – 음식/주거, 경제적 자원 등 2. 교육 & 훈련 체계 문제 3. 사법 & 법적 체계 문제 4. 건강 & 안정 & 사회서비스 체계 문제 5. 자발적 모임 체계 문제 - 종교집단, 지역사회집단 등 6. 감정적 지지 체계 문제 |
다. 대상자 욕구차원별 사정요소
구분 | 범주 | 문제유형 |
의료적 측면 | 의학적 요인 | • 질병의 정도와합병증 • 의료진과의 협조 정도 • 환자와 가족의 질환에 대한 인식수준 정도 |
생활관리 수준 | • 질병 예방 및 관리 활동 (운동 & 음주 & 흡연 & 식습관 &활동 정도) | |
사회 심리적 측면 | 심리적 요인 | •질병으로 인한 심리정서적 요인(스트레스 & 고립감& 우울증 & 무력감) |
사회적 요인 | • 가족의 역할(부모 & 배우자 & 자녀 & 형제자매 역할) • 대인관계 역할(친구 & 이웃 & 회원 등) • 직업과 관련된 역할 |
|
환경적 요인 | • 경제기본 욕구 체계(음식 & 영양 & 주거 & 고용 등) • 자발적 모임 체계(종교 & 자발적 모임 등) |
2. 초기단계(2)
- 목표설정 및 계약
· 사정 과정을 통해 Client의 욕구 & 문제 규명
-> 개입 목표 구체화, 사회복지사가 개입해야 할 목표 설정
· 목표의 우선수위에 따라 표적 문제 선정
- 심각성 & 해결가능성 기준
· 목표 달성을 위한 장·단기 계획 수립
- 의료사회복지현장 특성 -> 단기목표 집중이 효과적
1) 목표 설정시 지침(Hepworth & Larsen, 1986)
① 목표는 클라이언트가 바라는 바와 연결
② 목표는 측정 가능한 형태로 진술
③ 달성 가능한 목표설정
④ 사회복지사의 지식과 기술에 상응하는 것
⑤ 성장 강조, 긍정적 형태로 서술
⑥ 사회복지사의 권리, 가치 부합적 이어야 함
⑦ 목표는 기관의 기능과 일치하여야 함
· Social Worker & Client 간에
- 의무와 과업을 구체적 실천 활동 등에 관한 약속 과정
· 문제해결 과정에 Client 적극적 참여
· 구조화된 형식 활용 & 서로의 책임성 강조
but, 우리나라의 경우
: 보편화되지 않은 계약문화, 구두로만 설명, 클라이언트의 목표 달성 및 적극적 참여를 위해 문서화 필요
부산디지털대학교 의료 사회복지 실천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의료사회 복지실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보호 세팅 (0) | 2022.08.10 |
---|---|
중간단계 & 종료 단계 (0) | 2022.07.15 |
초기 단계(1) (0) | 2022.07.15 |
사회복지실천모델의 적용 (0) | 2022.07.15 |
사회복지실천 이론 (0) | 2022.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