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차 건강보호 세팅에서 Client의 주요문제
· 의료사회복지 서비스 제공되는 세팅 특성에 따라 구분
· 이에 따른 의료사회복지사 역할 다양
1) 1차 건강보호의 개념
✔ 기초의학 & 공중보건 & 예방의학 개념 혼용사용
✔ 공중보건, 1차 건강보호의 개념 불분명
✔ 공중보건, 1차 건강보호의 유사점 & 차이점 존재
구분 | 공중보건 | 1차 건강보호 |
유사성 | • 건강증진& 질병과 장애의 예방 위해 교육, 정보 제공 • 조기개입을 위해 점검, 스크리닝 제공 |
|
초점 | 지역사회 기초한 예방 | 개인 |
사회복지사의 역할 | 입법과정 통한 옹호자 역할 강조 | 건강 관련 심리, 사회적 문제 규명 |
· 건강보호체계의 문지기(gatekeeper) 역할
- 의료에 최초 진입
· 건강증진 & 질병예방 & 건강서비스(신체적+정신적) 통합 위한
- 전인적 접근 강조
: 건강의 신체적+정신적+사회적 측면 포괄
· 1차 건강보호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
① 생·의학 + 사회과학 모두에 기반
② 진단의 애매함 인정, 상호작용하는 환경적 요인의 복잡성 인정
③ 육체적 + 정신적 건강 고려
④ 건강증진 & 질병예방의 기회제공
⑤ 전산화된 정보체계 활용
- 질적 실천 증가
· 1차 예방에서의 사회복지 주요 세팅
① 병원 외래 & 병원 응급실 & HMO & 무료진료소 & 보건소 가족계획 클리닉 & 가정의학과 전문의 훈련센터 등
※ HMO(Health Maintenance Organization)
- 미국, 예방지향적 서비스 제공기관
- 1973년 HMO 법령에 의해, 건강증진, 질병의 조기예방을 위한 사회사업 서비스 필수 전문직으로 규정
② Bloom(1995)
- 공립학교 & 산업체(근로자 지원 P/G, 사고예방 P/G) & 자조집단과 사회적응 훈련 제공기관(양육훈련, 자기주장훈련, 자살예방 등), 레크리에이션 센터 등 But 우리나라의 경우, 1차 건강보호 업무 보건소 진행 (사회복지사 참여 비활성화)
· 해로운 건강행위, 환경적 스트레스, 사회적 불평등
▷ 사회적·정서적 상황 기인 – SW 참여 영역
· 1차 건강보호영역에서 사회복지사의 참여가 요구되는 생리·심리·사회적 건강문제 – but, 1차 보호 의사 : 단기투약 중심
▷ 알코올남용 & 아동학대와 방임 & 가정폭력 & 노인학대 & 10대 임신 & 성병 & 자살 & 우울 & 살인 & 오토바이 사고 & 흡연 & 식욕부진 & 섭식장애 & 강박장애 & 공황장애 & 사회적 고립 정서적 철회 & 자해행동 등
2. 1차 건강보호 세팅에서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
1) 1차 건강보호 세팅에서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
① 예방의학 (장기적 비용절감) : 사회복지사 적극적 개입 필요
② 사회복지사의 역할 : 일반시민 대상
- 생활방식교육 및 정보제공
- 질병 원인 & 질병 악화 요인에 대한 정보제공
- 치료과정 참여에의 중요성 & 회복에의 영향
ex) 식습관 & 스트레스 관리 & 운동습관 & 수면 및 위생습관
2) 1차 건강보호를 위한 공중보건 프로그램에서 사회복지의 기능
① 건강의 위협으로부터 지역사회의 보호 & 개인의 건강증진 질병의 예방 &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계획과 집행에 참여
② 사회적 요인과 건강문제 발생 빈도 간의 역학조사
특정 질환의 예방 & 조기개입 & 장애예방 & 건강증진 개입계획 손상된 개인 기능의 최적화
③ 사회적 스트레스 경감 & 복지와 건강증진을 위한 사회적 지지 활용
④ 고위험 환자에 대한 아웃리치
⑤ 의료수요자의 참여증진 & 기획과정의 리더십 & 건강보호 관련 사회적 서비스 연계
·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 요약
✔ 공중보건 프로그램의 기획, 정책 개발
✔ 지역사회 욕구와 문제 분석
✔ 고위험 집단에 대한 아웃리치
✔ 개인과 집단에 대한 건강교육
✔ 자조집단의 구성과 촉진
✔ 고위험 집단 규명을 위한 인구사회학적 역학조사
학습정리
1. 1차 건강보호 세팅에서 Client의 주요문제
· 1차 건강보호 세팅의 개념
– 건강보호체계의 문지기역할
– 건강의 신체적+정신적+사회적 측면 포괄(전인적 접근)
· 1차 건강보호 세팅에서의 Client 문제
– 사회적 & 정서적 상황에 기인
2. 1차 건강보호 세팅에서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
· 공중보건 프로그램 기획, 정책개발 & 지역사회 욕구와 문제 분석
· 고위험집단에 대한 아웃리치 & 건강교육 & 자조집단의 구성과 촉진
· 고위험집단 규명 위한 역학조사
부산디지털대학교 의료 사회복지 실천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의료사회 복지실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양원 & 호스피스 (0) | 2022.08.10 |
---|---|
병원 & 재가건강보호서비스 (0) | 2022.08.10 |
중간단계 & 종료 단계 (0) | 2022.07.15 |
초기 단계(2) (0) | 2022.07.15 |
초기 단계(1) (0) | 2022.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