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의료사회복지사가 알아야 할 지식
= 사회복지의 일반적 지식 + 의료적 특성에 관한 지식
=> 효율적 팀 워크 활동 & Client 특성에 따른 전문적 개입
1) 사회복지의 일반적 지식
① 생태체계적 관점
② 사회복지방법론 숙지
- 개별사회사업, 집단사회사업, 지역사회조직, 사례관리, 사회조사 등
③ 대상(개인, 가족, 집단, 지역사회 등)과 문제(알코올중독, 학대, 빈곤 등)에 대한 이해
④ 평가와 기록에 대한 이해
⑤ 정신분석학, 행동주의 인지주의
⑥ 문제해결모델, 위기개입모델, 단기개입모델, 가족치료, 과업중심모델 등
2) 의료적 특성에 관한 지식
① 질병에 관한 지식(특성)
② 질병에 관한 의학용어에 대한 숙지
③ 질병 진행에 따른 환자(가족) 대처 양상
④ 스트레스와 스트레스의 작동기제
=>실습과정 & 수련기간을 통하여 집중 보완 필요
2. 사회복지실천이론
- 정신분석이론
- 이론 : 어떤 현상을 일정한 법칙 or 원리에 따라 사물 간의 관계를 통일적으로 설 명하는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지식체계
-> 정신분석이론, 행동주의 이론, 인지주의 이론
1) 정신분석이론의 구성
- 무의식 or 본능 : 인간행동 결정
- 결정론 : 모든 현상은 선행 사건에 의해 결정
- 문제행동의 개선 : 문제행동의 무의식적 근원 파악
지형학적 관점 | 구조적 관점 |
의식(consciousness) 전의식(preconscious) 무의식(unconscious) |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 ego) |
가. 지형학적 관점
- 인간의 정신
① 의식(consciousness)
② 전의식(pre-consciousness)
③ 무의식(unconsciousness)
↳ 인간의 행동,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 요소
① 의식(consciousness) : 현재 인식하고 있는 기억, 지각, 느끼고 이해할 수 있는 모든 경험 & 감각
② 전의식(pre-consciousness) : 의식 & 무의식 사이에 존재 상황에 따라 의식으로 변화
③ 무의식(unconsciousness) : 인간행동 결정의 주된 원인. 인식하지 못하는 욕구 & 본능으로 꿈, 의식 없이 튀어나온 말, 행동 등
나. 구조적 관점
① 원초아(id) : 본능
- 생물학적 욕구 & 충동 : 현실과 무관
- 전체적 성격발달의 근원 & 정신에너지 저장소
- 쾌락원칙(pleasure principle) : 불쾌 회피, 즉각적 만족 추구
② 자아(ego) : 현실판단 & 거래
- 이드 & 초자아 사이의 중재자
- 방어기제 사용 : 불안 감소
- 생후 1년경부터 발달
- 현실원칙(reality principle) : 본능적 욕구 통제 & 행동조절
사회가 수용가능한 형태로 만족 추구
③ 초자아(super ego) : 양심 & 자아이상
- 자아(ego)에서 발달 & 남근기(3~5세)발달
- 양육자가 전달하는 사회의 가치 & 관습
- 양심(처벌에 의해) & 자아이상(보상에 의해)의 발달 => 성숙한 성격
∴ 이드 & 자아 & 초자아 균형 발전 필요
다. 본능이론
- 인간의 정신 활동에 작용하는 에너지
Libido(리비도) | Thanatos(타나토스) |
· 성적(삶) 본능 · 정신적 힘, 생명유지, 종족보존기능, 성욕, 배고픔 등 |
· 공격(죽음) 본능 · 공격적, 파괴적 성향의 근원, 자기파괴, 자살, 타인에게 공격성 |
라. 성격발달단계
- 인간의 성격이 신체적 성감대에 따른 5단계의 발달단계
단계 | 시기 | 내용 |
구순기 | 0-1.5세 | 입으로 빠는 행동, 먹는데 쾌감 |
항문기 | 1.5-3세 | 배변행동 쾌감의 근원 |
남근기 | 3-7세 | 성기가 주된 관심 오이디푸스(엘렉트라) 콤플렉스 |
잠재기 | 7-12세 | 자아 & 초자아 성숙 시기 동료관계 중요 |
생식기 | 12-18세 | 신체적 발달, 이성에 대한 관심 |
2) 정신분석의 치료 방법
① 자유연상 - 자유연상 통해 전이와 저항 등 해석, 치료 활용
② 감정적 중립 - 치료자는 충고 & 암시 & 지시 최소화
③ 치료자 - 자신의 환자에 대한 무의식적 & 감정적 반응 극복 필요
3) 정신분석이론에 대한 비판
① 인간에 대해 비합리적 & 비이성적 존재
② 비경제적 & 효과 입증하기 어려움
③ 적용대상의 한계
4) 의료사회복지실천에서의 함의
① 인간의 인성을 이해하려는 최초의 시도 & 아동기 발달의 중요성 & 무의식 세 계 개념화
②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지식 & 기술 체계의 기초제공
③ 인간의 행동 발달과 성장 & 성격구조 등에 대한 합리적 이해를 위한 근거
④ Client와 신뢰관계 & 감정이입 & 동일시 경청 중시
부산디지털대학교 의료 사회복지 실천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의료사회 복지실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실천모델의 적용 (0) | 2022.07.15 |
---|---|
사회복지실천 이론 (0) | 2022.07.15 |
의료사회복지사의 가치와 윤리 (0) | 2022.07.15 |
의료사회복지에서의 팀협력체계 (0) | 2022.07.15 |
의료사회복지의 전문성과 역할 갈등 (0) | 2022.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