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의료사회복지의 전문성
1) 전문성의 요건
가. 속성론
- Greenwood, 1980
- 필수 속성 : 체계적 이론 / 사회적 인가 / 윤리강령
- 파생 속성 : 전문적 권위 / 고유의 문화
나. 과정론
- Wilensky, 1964
01 유급의 전일제(full-time)
02 대학교육 요구 (직업 수행 위해)
03 전국적 조직체
04 고유하고 핵심적인 과업의 명확화
05 과거 그 직업 종사자와 새로운 자격과 교육을 받은 사람 간 갈등
06 유사한 직업과 갈등
07 법적 보호 장치(면허 & 등록 & 자격제도)
08 윤리강령
다. 권력론
- Gullen, 1978 -> 역할수행에 있어 독점적 지위를 획득하면 전문직
- Freudson, 1970 -> 의사의 전문적 권위 : 정치적 권력을 발휘해서 의료 독점
* 의료사회복지의 전문성은 어떠한가?
- 속성론, 과정론 : 어느 정도 전문성 인정 받음
- 권력론 : 업무의 배타적 독점성에 한계
2) 의료사회복지 전문성에 대한 비판
- 사회사업은 전문직인가? (Flexner, 1915)
① 사회과학으로서의 기초적 준비
② 주정부의 지도·감독하에 심사되는 명확한 교육과 전문적 자격
③ 전문 조직
④ 전문적 실천 강령
⑤ 고유하고 구별 가능한 지식체계와 전수될 수 있는 전문 기술
- Flexner가 지적한 사항에 대한 조치들
01 사회사업 석사과정에 확실한 사회과학의 기초 포함
02 대부분의 주에서 사회복지사에게 자격증 부여
03 사회복지사와 조직이 준수해야 할 윤리강령 제공(NASW)
- 미국 :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상당부분 인정
- 한국 : 진행형(수련제도 등)
2. 의료사회복지사에 대한 시각과 역할 갈등
1) 의료사회복지사 어떻게 볼 것인가?
가. 자선가로 보는 시각
· 사회복지사의 열정 & 헌신 강조
- 신앙심 or 인간에 대한 봉사 등
-> 열악한 노동조건 당연시하는 결과 초래 : 사회사업 초창기의 의미
나. 전문가로 보는 시각
· 인간의 다양한 욕구나 문제 해결
- 전문화된 지식 & 기술 요청된다고 보는 시각 -> 의료사회복지의 전문화에 기여
but, 의료사회복지사 정체성 혼란 or 갈등 초래, 실제적 서비스 경시
ex) 빈자에 대한 지원 & 퇴원계획 등
다. 노동자로 보는 시각
·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급속히 증가하는 사회문제
- 자선 & 구제활동만으로 해결 불가
->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제도화 된 것 : 사회복지 => 노동자로서 권리의식 & 연대 강조
라. 의료사회복지사의 주체별 시각의 차이
2)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 갈등
Cabort | Cannon |
· 지역사회 자원 간의 연계 · 병원 & 환자 실제적 서비스 제공자 관점 |
· 의학적 치료에 장해가 되는 문제, 환자의 건강문제 원인 or 결과가 되는 사회적, 심리적 문제 - 직접 치료 역할 (정신분석 기초) · 치료자적 관점(social doctor) |
사례관리자 기능 강조 | 치료자 기능 강조 |
가. 역할갈등의 원인
- 사회복지사
· 다른 의료진에 비해 과소평가 받는다고 인식
- 타 전문가의 편향된 인식
· 사회복지사 : 물질적 지원
- 자원동원 or 실제적 서비스 제공자에 한정
- 전문가로서 인정받아야 한다는 압력
· 임상적 & 치료적인 역할 강조
- 정신 내적 과정 지향
- 심리치료 기술 개발을 통한 전문적 지위 획득
나. 역할갈등의 양상
- 치료자적 서비스에만 급여 인정(우리나라)
· 치료적서비스 : 개인력조사, 사회사업지도, 사회조사, 사회사업상담
· 실제적 서비스 : 가정방문
- 골수 & 장기 이식분야 등
· 치료적 과정에 참여하는 사회복지사 활동 : 보험수가 미인정
다. 역할갈등의 극복
- 치료자적 역할 vs 실제적 서비스 제공자 역할
· 하나를 포기하거나 배타적일 수 없음
- 치료자의 역할 집착시
· 사회복지사 역할(자율성) 축소 & 정체성 혼란
- 전문성 확보
· 치료자적 역할 + 실제적 서비스 제공
부산디지털대학교 의료 사회복지 실천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1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의료사회 복지실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료사회복지사의 가치와 윤리 (0) | 2022.07.15 |
---|---|
의료사회복지에서의 팀협력체계 (0) | 2022.07.15 |
의료보장제도 2 (0) | 2022.07.15 |
의료보장제도(1) (0) | 2022.07.15 |
의료환경의 변화 (0) | 2022.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