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보장과 알 권리
1. 비밀보장 3) 사회복지실천에서의 비밀보장 ▶ 과학기술의 진보에 따른 전화, 이메일, 팩스 등을 통한 정보 유출과 기록, 음, 컴퓨터를 사용한 정보 보관방법에 대한 주의 필요 - 사회복지기관에서의 비밀보장에 대한 조치와 절차 제정 필요 ▶ 사례와 관련된 대화를 공개된 장소에서 하지 않도록 함 - 자문, 수퍼비전, 교육 등의 목적으로 사례를 공개할 경우, 클라이언트의 개인신상 정보를 변경하거나 가명 사용으로 신분 노출 방지 ▶ 사회복지실천 초기에 클라이언트에게 비밀보장의 권리와 한계에 대해 분명하고 구체적으로 알려주어야 함 - 비밀보장의 중요성, 관련 법조항, 기관의 조치와 절차, 사회복지사의 법적 의무 사항, 비밀보장의 제한 사항, 교육목적 정보 공유의 경우, 정보공개시 클라이 언트의 동의 절차 등 ..
비밀보장(2)
▶ 폭력성을 예측하는 사정 정보(괄호 안은 높은 위험요소를 의미함) ☑ 나이(청소년 혹은 젊은 성인), 성별(남자), 인종/민족(소수집단 신분) ☑ 지적 능력(낮음), 교육과 직장 경험(기대치보다 낮은 실적) ☑ 가족 경험(순종적이거나 폭력의 대상이었음) ☑ 사회 경험(순종적이거나 폭력의 대상이었음, 공개적으로 창피 당함) ☑ 동료 문화(폭력을 장려함) ☑ 대처 방식(스트레스 상태일 때 폭력적임) ☑ 폭력적인 행동을 한 과거(폭력, 학대, 방화) ☑ 충동성(심각, 빈번함) ☑ 알코올이나 다른 약물의 영향(취한 상태에서는 폭력적임) ☑ 정신적 상태(정신병, 환각, 망상, 강박증, 조증, 흥분) - Kagle & Kopels(1994) - ▶ 최근 사건들(위기, 가까운 사람의 죽음, 위협, 스트레스를 주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