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리적 딜레마 발생 시 의사결정에 도움을 제공하는 윤리적 결정지침이나 윤리적 의사결정 모델
1. 윤리적 의사결정 모델
1) Lowenberg & Dolgoff 의 일반결정 모델
가. 일반결정 모델(General Decision-Making Model)
- 사회복지사들이 최선의 윤리적 결정을 하기 위해서 적용 가능한 것
- 조직화된 사고의 단계 및 절차 구성과 윤리적 윈칙과 우선순위 구성에 초점을 맞추어 제시
- 복잡한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 모델로 윤리적 결정만이 아니라 일반적 의사결정에도 사용 가능함
- 일반적인 의사결정의 모델을 기반으로 사회복지사의 주도적인 역할을 중심으로 전개하고 있어 다른 학자의 의사결정 과정모델과 구별됨
- 전문가로서 문제해결을 주도하여 의사결정을 한 후 이를 실행하고, 그 결과에 대한 검토 및 평가까지의 체계적인 과정을 따르고 있음
▶ 일반결정 모델(General Decision-Making Model)
나. 윤리적 사정 심사표(EAS: Ethical Assessment Screen)
-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의사결정의 윤리적 측면을 더욱 강조한 것
- 윤리적 갈등상황과 관련된 사회적 가치, 사회복지사의 가치, 개인적 가치를 분석해 보고, 윤리적 행위의 대안 중에서 가장 갈등과 해악을 가장 최소화하는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줌
- 각 대안의 효율성, 효과성을 분석하게 해줌으로써 대안을 선택하면서 나타날 수 있는 결과나 단기 혹은 장기적인 윤리적 영향에 대해 고려할 수 있음
- 이러한 사정 심사의 과정을 거친다 해도 윤리적인 의사결정이 용이한 것은 아님. 따라서 상충하는 윤리적인 원칙과 행위에 대한 우선순위를 판단하기 위해 윤리적 규칙심사와 윤리적 원칙심사를 하게 됨
윤리적인 딜레마 상황에서 어떤 선택을 해야만 하는 경우 | 그래도 해결이 되지 않을 경우 |
먼저 윤리적 규칙 스크린 (ERS: Ethical Rule Screening)을 적용해 봄 |
윤리적 원칙 스크린 (EPS: Ethical Principle Screening)을 적용할 것을 권하고 있음 |
[ 윤리적 사정 심사표(EAS: Ethical Assessment Screen) ]
단계 | 내용 |
1단계 | 직면하고 있는 윤리적 갈등상황과 관련하여 개인적 가치는 무엇인지 확인한다. |
2단계 | 윤리적 의사결정과 관련된 사회적 가치는 무엇인지 확인한다. |
3단계 | 윤리적 문제와 관련하여 전문적 가치와 윤리를 확인한다. |
4단계 | 선택할 수 있는 윤리적 대안이 있는지 확인한다. |
5단계 | 어떤 윤리적 행동이 당신의 클라이언트 및 다른 사람의 권리와 행복을 대한 보호해 줄 수 있는지 확인한다. |
6단계 | 어떤 윤리적 행동이 최대한 사회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해 줄 수 있는지 확인한다. |
7단계 | 앞의 1, 2, 3 번 사이의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무엇을 할 수 있는지, 5, 6번 사이의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
8단계 | 어떤 대안적 행동이 최소한 손실의 원칙을 지킬 수 있는지 확인한다. |
9단계 | 각각의 대안적 행동은 어느 정도로 효율적이고 효과적이며 윤리적인지를 파악한다. |
10단계 | 각각의 대안들이 가지고 있는 단기 및 장기적인 윤리적 측면을 고려해서 비교한다. |
다. 윤리적 규칙 심사표(ERS: Ethical Rules Screen)
- 윤리적 갈등상황에 윤리강령 적용을 위한 지침을 제시
- 윤리원칙 심사 이전에 우선적으로 수행되는 사정기법으로 사회복지사의 윤리강령을 사용
[ 윤리적 규칙 심사표(ERS: Ethical Rules Screen) ]
단계 | 내용 |
윤리규칙 1 | 윤리강령을 살펴보면서 윤리강령에서 어떤 규칙을 적용할 수 있는지 결정한다 . 이러한 규칙들은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가치 체계에 우선한다 . |
윤리규칙 2 | 적용 가능한 한 가지 혹은 그 이상의 강령규칙들을 따른다 . |
윤리규칙 3 | 특정 문제에 대해서 강령이 적용되지 않거나 또는 여러개의 강령규칙들이 상충되는 지침을 제공하는 경우,윤리적 원칙 심사표를 활용한다 . |
라. 윤리적 원칙 심사표(EPS: Ethical Principles Screen)
- 윤리적 원칙의 순위를 제시함으로써 어떤 가치나 윤리원칙이 우선되는지 결정할 수 있음
- 윤리적 원칙 중에서 상위 수준의 원칙은 하위수준의 원칙보다 우선 적용됨
˚ 윤리적 원칙 심사
✓윤리적인 교착상태에서 실천가가 윤리적인 원칙의 우선순위에 의해서 의사결정 을 하는 것
[윤리적 원칙 심사표(EPS: Ethical Principles Screen)]
단계 | 내용 | |
윤리원칙1 | 생명보호의 원칙 | 인간의 생명보호가 다른 모든 것에 우선한다. |
윤리원칙2 | 평등과 불평등의 원칙 | 능력이나 권력이 같은 사람이 ‘똑같이 취급받을 권리’가 있고, 능력이나 권력이 다른 사람은 ‘다르게 취급받을 권리’가 있다. |
윤리원칙3 | 자율과 자유의 원칙 | 클라이언트의 자율성과 독립성, 자유는 중시되지만 무제한적인 것은 아니며, 자신이나 타인의 생명을 위협하거나 학대 할 권리 등은 없다. |
윤리원칙4 | 최소 해악의 원칙 | 선택 가능한 대안이 모두 유해할 때 가장 최소한으로 유해한 것을 선택해야 한다. |
윤리원칙5 | 삶의 질의 원칙 | 지역사회는 물론이고 개인과 모든 사람의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을 선택해야 한다. |
윤리원칙6 | 사생활 보호와 비밀보장의 원칙 |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에 대해 알게 된 사실을 다른 사람에게 공개해서는 안 된다. |
윤리원칙7 | 진실성과 완전공개의 원칙 | 클라이언트와 다른 관련된 당사자에게 오직 진실만을 이야기하며 모든 관련 정보를 완전히 공개해야 한다. |
학습정리
1. 윤리적 의사결정 모델
1) 로웬버그와 돌고프의 일반결정모델
- 조직화된 사고의 단계 및 절차 구성과 윤리적 윈칙과 우선순위 구성에 초점을 맞추어 제시
- 복잡한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 모델로 윤리적 결정만이 아니라 일반적 의사결정에도 사용 가능함
2) 윤리적 사정 심사표
3) 윤리적 규칙 심사표
4) 윤리적 원칙 심사표
부산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 강의정리 : 권량희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밀보장(1) (0) | 2022.08.15 |
---|---|
윤리적 의사결정 모델(2) (0) | 2022.08.15 |
윤리적 딜레마와 윤리적 의사결정 (0) | 2022.08.15 |
사회복지사 윤리강령(2) (0) | 2022.08.15 |
사회복지사 윤리강령(1) (0) | 2022.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