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정책과 제도(사회복지법제론) |
64. 고용보험법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일용근로자”는 1개월 미만 동안 고용되는 자를 말한다.
② 실업급여에는 취업촉진수당이 포함되지 않는다.
③ “실업”이란 근로의 의사와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취업하지 못한 상태에 있는 것을 말한다.
④ 구직급여를 지급받으려는 자는 이직 후 지체없이 직업안정기관에 출석하여 실업을 신고하여야 한다.
⑤ 65세 이후에 고용되거나 자영업을 개시한 자에 대한 고용안정ㆍ직업능력개발 사업에 관하여는 이 법을 적용한다.
<해설>
② 실업급여에는 취업촉진수당이 포함되지 않는다.
→ 제37조(실업급여의 종류)
①실업급여는 구직급여와 취업촉진 수당으로 구분한다.
②취업촉진 수당의 종류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조기(早期)재취업 수당
2. 직업능력개발 수당
3. 광역 구직활동비
4. 이주비
<공부하기> 출처 링크 : https://ocsc.tistory.com/399
고용보험법
1. 목적과 정의 -목적 : 고용보험의 시행을 통하여 실업의 예방, 고용의 촉진 및 근로자의 직업능력의 개발과 향상을 꾀하고, 국가의 직업지도와 직업소
ocsc.tistory.com
고용보험법
고용보험법 법률 제18920호 일부개정 2022. 06. 10.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법은 고용보험의 시행을 통하여 실업의 예방, 고용의 촉진 및 근로자 등의 직업능력의 개발과 향상을 꾀하
ocsc.tistory.com
'사회복지사 1급 기출문제 > 2019년 17회 정답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_17_3-3-66번(사회복지 법제론)정답 풀이 (0) | 2022.08.09 |
---|---|
2019_17_3-3-65번(사회복지 법제론)정답 풀이 (0) | 2022.08.09 |
2019_17_3-3-63번(사회복지 법제론)정답 풀이 (0) | 2022.08.09 |
2019_17_3-3-62번(사회복지 법제론)정답 풀이 (0) | 2022.08.09 |
2019_17_3-3-61번(사회복지 법제론)정답 풀이 (0) | 2022.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