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2305) 썸네일형 리스트형 가족체계이론 1. 가족에 대한 이해 1) 체계로서의 가족 이해 • 1950년대 체계이론이 사회복지실천 분야에 도입된 이후 가족을 하나의 개입단위로 하는 가족 대상 사회복지실천 등장 • 가족을 체계로 보는 것은 가족들이 서로 어떠한 관련을 맺고, 전체로서의 가족이 어떻게 기능하는지 알 수 있음 → 가족문제는 순환적 인과관계에 의해 발생 (1) 가족항상성 • 가족이 구조와 기능에 있어 균형을 유지하려는 속성 • 가족규칙을 활성화하여 가족원들이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관계를 유지하게 함 예) 부부갈등이 있는 부부가 자녀의 식욕과다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안정상태를 유지하려고 함 (2) 경계 • 체계의 내부와 외부 또는 한 체계와 다른 체계를 구분하는 보이지 않는 선 • 가족경계는 가족 내 체계들간, 가족체계 외부체계를 구분 • .. 가족에 대한 이해 1. 가족에 대한 이해 1) 가족이란? 가족에 대한 개념 정의 학자 개념 정의 Murdock (1945) • 핵가족으로서의 개념이 강함 • 공동의 주거, 생식, 경제적 협력을 하는 사회집단으로 부부와출산자녀 및 입양자녀로 구성 Hartman & Laird (1983) • 가족의 기능이나 관계의 질적인 측면 강조 • 둘 이상의 사람들이 친숙한 한 가족이라고 여기고 밀접한 감정적 유대와 가정이라는 생활공간, 생물학적,사회적,심리적 요구의 충족에 필요한 역할과 과제를 공유하는 집단 Giddens (1992) • 근대적 경향 반영 • 정서적이고 물질적인 지지에 기반을 둔 둘 또는 그 이상의 사람들이 상호 간에 기대를 가지고 그들의 삶의 유형과 관계없이 상호 친밀감과 지속적인 보호를 주고받는 구성체 • 가족이란?.. 위기개입모델의 개입과정 1. 위기개입모델의 개입과정 1) 위기개입모델의 개입과정 및 기법 (1) Golan의 위기 개입의 3단계 (2) Aguilera와 Messick의 위기 개입의 4단계 • 사정단계 - 클라이언트의 정서적 고통을 완화하거나 경감시킴과 동시에 개인과 문제에 대한 사정 수행 - 촉발사건과 위기사건 사정 - 초점화 기술 적극적 활용 ▸ 사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 - 위기와 선행 사건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는지 파악 - 현재의 위기와 선행 사건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인식 - 지지적 자원에 대한 고려 - 과거의 비슷한 문제 경험과 대처 기술 - 클라이언트의 자해 또는 타해의 위험 정도 • 계획단계 1단계 ① 위기로 인한 클라이언트의 기능 손상 정도와 회복 가능성 평가 ② 주변 자원들의 반응과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등에.. 위기의 발달단계 1. 위기개입모델의 주요 개념 1) 위기의 발달단계(Golan) (1) 위험 사건 • 위기는 위험 사건이 발생하면서 시작되고, 외부적 사건, 내부적 압력 등으로 구성 • 예기될 수 있는 사건 : 발달단계나 생활주기의 전환단계에서 발생되는 위기로,잘 극복하면 성장 및 변화 가능 • 예기치 않은 위기 :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지만 뜻하지 않은 시기에 닥쳐올 수 있는 돌연한 변화 예) 갑작스러운 배우자의 죽음, 실직, 이혼, 사고 등 (2) 취약 단계 • 위험 사건으로 인한 균형을 잃은 상태 • 최초의 쇼크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반응 단계 • 위험사건에 대처하기 위해 평소에 사용하던 문제해결 기제의 시도 • 성공하지 못할 경우 새로운 방법 강구 (3) 위기촉발 요인 발생 • 긴장과 불안을 한층 고조시켜 취약.. 위기개입모델 1. 위기개입모델의 개요 1) 위기개입모델 • 위기에 처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즉각적인 개입을 통해 단기간 내에 전문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실천모델 • 1950년 - 1960년대에 급격하게 성장 • 명료하고 집약적인 활동으로 나아가려는 사회복지실천의 동향을 대표하고 있음 • 정신건강, 아동복지, 노인복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음 (1) 등장 배경 • 보건 및 휴먼서비스 영역에 종사하던 실무자들이 위기를 예방하고 심리적 병리나 가족해체 등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노력을 통해 형성 • 2차 세계대전 이후 전쟁으로 인한 후유증과 이별, 상실에 따른 심리적 문제 등에 대한 신속하고 숙련된 전문서비스 요구됨 • 사회복지학, 심리학, 사회학, 정신분석학 등에 뿌리를 두고 있음 • Lindemann(19.. 인지행동모델의 개입기법 1. 인지행동모델의 개입기법 1) 개입기법 (1) 경험적 학습 • 클라이언트가 믿는 신념과 반대되는 행동이나 경험을 하게 함으로써 자신이 믿는 신념이 잘못되었다는 인지적 오류를 발견 및 인정하여 수정하도록 하는 기법 • 인지적 불일치의 원리 이용 예) 이솝 우화 ‘여우와 신포도’의 여우의 생각 수정 (2) 체계적 탈감법 (둔감법) • 불안을 일으키는 자극을 가장 약한 정도에서 가장 강한 자극으로 옮겨 가면서 점차 자극에 대한 반응 강도를 감소시켜 나가는 기법 • 불안증, 공포증, 말더듬이, 신경증 등에 적용 • 체계적 탈감법의 단계 - 근육의 긴장 이완 - 불안위계의 작성 - 불안위계에 포함된 구체적 불안대상을 이완훈련과 연합하기 ✔고전적 조건화를 이용한 행동수정 개입기법으로 클라이언트의 충분한 이해와 .. 인지행동모델의 개입기법 1. 인지행동모델의 개입기법 1) 개입기법 1 문제에 초점을 둔 시간제한적 접근으로 목표지향적이고 구조화된 접근방식으로 개입의 단기화 가능 2 사고와 행동을 통제하기 위한 대처기제를 학습하는 교육적 접근 강조 → 개입 초기 인지행동치료에 대해 클라이언트가 이해하고 협조할 수있도록 설명하고 교육하며 이에 대해 논의 3 인지변화를 행동변화로 이끌기 위한 다양한 행동주의 기술과 기법 활용 → 사고, 정서,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법 사용 (1) 치료 관계의 적극적 이용 • 관계에서의 지지적 요인을 활용하는 긍정적 배려를 하는 기법 → 치료과정 중 존중과 지지, 격려 제공으로 클라이언트가 가치 있는 존재로 인정되면서 왜곡된 인지과정 차단됨 •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 사이의 관계에서 일어나는 왜곡에 초점.. 인지행동모델의 개입과정 1. 인지행동모델의 개입목표와 개입과정 1) 개입목표 (1) 개입특징 • 개인의 주관적 경험과 인식을 중시함 • 클라이언트의 능동적, 적극적 참여를 권장함 •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의 협조적 노력을 강조함 • 구조화된 적극적 과제 활용과 교육적인 접근으로 자기치료가 가능할 수 있도록하여 재발 방지의 역량을 강화함 • 자신의 정서적, 행동적 반응과 관계된 인지적 기능에 대해 경험적 탐구를 하도록 초점 • 문답식 방법(소크라테스식)을 활용하여 중요한 인지현상을 쉽게 찾아내 주고 자기발견과 타당화의 과정을 갖도록 해 줌 • 문제 중심, 목표 지향, 현재 중심 개입으로 시간제한적인 단기치료가 가능함 • 다양한 개입방법을 추구함 (2) 개입과정 ① 초기단계 • 접수, 개입의 구조화 : 클라이언트가 호소하는 문제 .. 이전 1 ··· 248 249 250 251 252 253 254 ··· 2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