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정신건강 사회복지론

(39)
생태체계적 관점 1. 정신건강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생태체계적 관점 - 환경 속의 인간 person-in-environment -> 개인 & 환경 간 교류 중시 1) 생태체계이론의 발달, 특징, 인간관 가. 발달 - 체계이론 system theory (Bertalanffy, 1967) + 생태학 ecology (Auerswald, 1968) -> 인간발달 과정연구에 두 관점 통합 -> 생태적 체계 ecological system (Bronfenbrener, 1979) => 사회복지실천 적용 => 생태체계모델eco-system model(Germain & Gitteman, 1980) : 생활모델 체계이론 system theory (Bertalanffy, 1967) 생태학 Ecology (Auerswald, 1968) 특징 -..
정신병리의 증상(2) 2. 정신병리증상의 종류 5) 사고장애(Disorders of consciousness) - 사고란? : 목적을 향한 생각들의 흐름으로, 문제점이나 과제에 의해 시작되어 현실적인 결론에 도달하는 연상행동 가. 사고 형태 장애 - 자폐적 사고 : 본능적 욕구충실 & 현실무시, 자기중심적 사고 - 구체적 사고 : 은유표현 없음, 의미 & 뉘앙스 이해 불가, 일차적 사고(문자적 사고) 나. 사고 과정 장애 - 사고 과정이란? : 연상의 속도& 방식 -> 순차적 연상의 연결 장애 - 사고비약 : 연상이 너무 빨리 진행, 원래 주제에서 탈선 / 사고의 목적 이탈 예) 주말에 뭐 했니? ~월드컵 우승은 누가할까? - 사고지체 : 연상 느림 or 없음, 말 소리 : 느림 & 낮음 & 적음 - 우원증 : 많은 불필요한..
정신병리의 증상(1) 1. 정신병리의 이해 - Client에서 관찰되는 비정상적인 경험·행동·인지 - 일정한 적응상태의 파괴 - 정신질환 유발인자 : 극심 or 누적 시 - 환경에의 적응 결과 : 어떤 방어기제 사용?, 얼마나 효과적으로 대처? - 정상적 행동, 신경증적 행동, 정신병적 행동 - 우리가 정신병리를 이해해야 하는 이유? 1> 정신장애의 객관적 이해·사정·효율적 서비스 계획의 준거 틀 2> 전문직 간의 의사소통(다학제간 서비스) 2. 정신병리증상의 종류 1) 의식장애(Disorders of consciousness) 가. 주의력 장애 - 주의산만 - 집중&관심을 충분한 기간 동안 유지 못하고 계속 다른 자극에 주의 돌리는 것 나. 의식의 혼탁 - 착란, 섬망, 혼미, 혼수 - 주위 자극을 제대로 지각 못하거나 상..
정신건강과 정신장애 1. 정신건강의 개념 1) 세계보건기구(WHO) - 일상생활에서 언제나 독립적, 자주적으로 처리해 나갈 수 있고 질병에 대해 저항력이 있으며 원만한 가정생활과 사회생활을 할 수 있는 상태 2) 미국 정신위생위원회 - 정신적 질병에 걸려 있지 않은 상태만이 아니고 만족스러운 인간관계와 그것을 유지해 나갈 수 있는 능력 => 정신건강이란, 정신적으로 병적인 증세가 없을 뿐만 아니라, 자기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있으며, 자주적이고 건설적으로 자기 생활을 처리해 나갈 수 있는 성숙한 인격체를 갖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2. 정신장애, 정신질환, 정신병의 구분 1) 정신장애 가. 정신 장애(mental disorder) - 개인의 인지·감정조절·행동에서 나타나는 임상학적인 의미 있는 장애를..
우리나라 정신건강사업의 전달체계 1. 우리나라 정신건강사업의 전달체계 1) 정신질환자현황과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실태 - 정신질환 평생 유병률 : 성인 4명 중 1명(25.4%) - 정신건강서비스 이용률 : 2016년 기준 일반인 6.9%, 정신질환자 22.2% 2) 정신건강증진기관 현황과 주요기능 가. 정신건강증진기관 현황(보건복지부. 2020년 기준) - 정신건강복지센터 : 243개 - 정신의료기관 : 1,449개 - 정신재활시설 : 349개 - 중독관리 통합지원센터 : 50개 - 정신요양시설 : 59개 => 전국 2,555개 나. 정신건강증진기관의 주요기능 - 정신건강복지센터 : 지역사회 내 정신질환의 예방, 정신질환의 발견 & 상담 & 사례관리, 지역사회정신건강 사업기획&조정·정신건강증진 시설 간 연계체계 - 정신의료기관 : 국공립..
우리나라 정신건강사업의 현황 1. 정신건강복지법의 의의 - 산업화, 정보화, 도시화, 핵가족화, 생존경쟁, 스트레스 등의 급속한 사회변화 => 정신질환의 급속한 증가 - 미국, 유럽, 호주에서 정신건강에 대한 책임을 ‘사회’에 있다고 보았음. -> 1960년대 정부주도 지역별 정신건강복지센터 설치·운영 -> 정신질환 조기발견·치료·재활 2. 정신건강복지법의 형성과정 1) 최초의 입법 시도(1968년) - 대한신경정신의학회·대한의학회 ‘정신위생법’안 건의 => 기각 - 1978년, 1980년 기각 2) 체계적 정신건강정책 필요성 제기 - 1983년 ‘기도원’ 수용 정신질환자에 대한 비인간적 인권침해 보도 3) 정신질환종합대책 수립(1984년) - 정신질환자관리체계 확립 - 1차 기관 : 정신과 의원, 보건소(보건지소), 상담소 -> ..
지역사회 정신건강 1. 지역사회정신건강의 이해 1) 지역사회정신건강의 정의 - Community Mental Health - ‘지역사회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정신건강 활동’ Bloom, 1984 - 지리적 영역에 기초하여 - 집합적 동질성을 가진 구성원들 상호행동 - 공동 욕구 충족, 공동 목적 성취 - 사회적 단위에서 정신건강 지키고 유지 활동 2) 지역사회정신건강의 기본원칙 가. 최소한의 규제 원칙 - 격리·수용 대단위 시설 입원치료 -> 자유, 친근한 환경에서의 치료 & 재활 & 보호로 전환 나. 보통화/정상화 원칙 - 격리·수용 대단위 시설 입원치료 -> 생활리듬, 생활환경, 주거의 보통화 -> 보통 사람의 생활조건과 비슷한 상태의 생활조건 & 자율 보장 다. 사회통합 원칙 - 격리·수용 대단위 시설 입원치료 -..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과 낙인 및 극복방안 1.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과 낙인 1) 원인 & 경과 & 치료에 대한 편견과 낙인 가. 원인에 대한 편견과 낙인 - 군대, 가족의 양육방식의 문제, 유전, 충격, 가족 내 종교의 다름 등 나. 경과에 대한 편견과 낙인 - 괴상하다, 위험하다, 결혼하면 좋아진다 등 다. 치료에 대한 편견과 낙인 - ‘바보가 된다’, ‘치료가 되지 않는다’ 등 2) 편견과 낙인의 결과 가. 조기치료 기회 박탈 - 무분별한 종교 & 무속의 활용 2. 편견과 낙인의 형성과정 1) 매스컴의 보도태도 가. 정신질환자 = 잠재적 범죄자 나. 선정적, 흥미, 시선유도 2) 정신질환에 대한 무관심 가. 상식 벗어난 행동 - 두려움, 회피 3) 수사기관 종사자 의식 가. 미제 & 잔인한 사건 문제 - 정신질환자 지목 3. 편견과 낙인의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