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정신건강 사회복지론

생태체계적 관점

728x90

1. 정신건강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생태체계적 관점


- 환경 속의 인간 person-in-environment -> 개인 & 환경 간 교류 중시   

 

1) 생태체계이론의 발달, 특징, 인간관


가. 발달

 
- 체계이론 system theory (Bertalanffy, 1967) + 생태학 ecology (Auerswald, 1968) 

  -> 인간발달 과정연구에 두 관점 통합 -> 생태적 체계 ecological system (Bronfenbrener, 1979)


=> 사회복지실천 적용 
=> 생태체계모델eco-system model(Germain & Gitteman, 1980) : 생활모델

 

  체계이론 system theory (Bertalanffy, 1967) 생태학 Ecology (Auerswald, 1968)
특징    - 모든 생물 ‘체계’로 구성
     예) 하위체계 & 상위체계
   - 각 부분보다는 전체(wholes) 중시
   - 생물이 환경에의 ‘적응과정’에 관심
   - 인간(생물) 생존 위해 
      ->환경에 적응, 환경을 변화
초점 ‘구조’ 강조    - ‘상호작용’ & ‘교류’ 강조
   - 상호작용(interaction)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역동적인 관계
   - 교류(transaction) 
     상호작용하는 환경과 인간과의 관계

 

나. 특징

 

  전통적 의료 모델 생태체계적 모델 (사회복지)
기본 시각 단선적·인과론적 원인 -> 결과 순환론적·상호작용 원인<-->결과
문제 원인 정신병리 개인·환경간 상호작용의 결과
생활상의 문제(적응)
개입 초점 개인 개인·환경간의 ‘상호작용’

 

 

다. 인간관 


- 인간 & 환경 : 상호작용


- 호혜적 관계 유지 & 변화 & 발전 가능 

 

- 낙관론적·긍정적


- 인간행동 변화가능

 


2) 행동부적응과 정신건강에 대한 기본적 관점 

 

가. 기본적 관점  


- 인간의 어떤 행동도 부적응적 행동으로 규정하지 않는다. 

 

- 정신적 불건강 : 동일 관점으로 조망 
-> 인간의 모든 행동은 적응의 과정이다. -> 적응 : 비난 & 낙인 금지 
-> 문제 행동은 그 환경안에 의미가 있는 것이다. 

 

나. 생태체계이론의 강조점 


- 적응(adaptation) : 개인 vs 환경간의 적절한 결합(적합) 

 

- 적합(fit) : 개인적 욕구 vs 환경적 욕구 사이의 조화 & 균형

 


3) 적응과 부적응의 관점 

 

가. 적응

 
- 적응 잘 된 상태 : 적합(fit) 


- 인간 & 환경 간의 긍정적 상호작용 -> 개인의 상호적응적 기능 향상 

나. 부적응

 
- 적응 잘 되지 않은 상태 


- 인간 & 환경 간 파괴적 & 사회적 기능 위축 -> 개인의 성장 & 발전 저해 or 환경도 손상

 


▶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역할


- 생태체계적 이론(관점)에서 Client 문제 조망 필요


- 개인과 상호작용하는 환경수준에 대한 이해 필요 


- 개인·환경간의 상호작용에 개입 -> 변화가능성 확대   

 

 

2. 개인이 상호작용하는 환경의 수준

 
1) 미시체계 

 

- micro system


- 개인에게 가장 인접한 수준의 환경 

 

- 직접적·대면적 상호작용 


- 가족, 또래, 학교, 교회 등 

 


2) 중간체계


- meso system


- 미시체계 간 관계·상호작용 

 

- 부모-교사 & 이웃들간의 관계

 


3) 외체계

 

- exo system


- 개인발에 영향 미치는 사회적 환경 

 

- 직장환경 & 지역사회 

 


4) 거시체계


- exo system


- 간접적 영향, 강력 


- 사회, 문화, 경제, 정치, 관습 


* 개인에게 영향 미치는 주변 체계와의 관계 그림으로 묘사 : 생태도(eco-map)

 

 

 

 

 

 

 

 

부산디지털대학교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