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정신병리증상의 종류
5) 사고장애(Disorders of consciousness)
- 사고란?
: 목적을 향한 생각들의 흐름으로, 문제점이나 과제에 의해 시작되어 현실적인 결론에 도달하는 연상행동
가. 사고 형태 장애
- 자폐적 사고 : 본능적 욕구충실 & 현실무시, 자기중심적 사고
- 구체적 사고 : 은유표현 없음, 의미 & 뉘앙스 이해 불가, 일차적 사고(문자적 사고)
나. 사고 과정 장애
- 사고 과정이란? : 연상의 속도& 방식 -> 순차적 연상의 연결 장애
- 사고비약 : 연상이 너무 빨리 진행, 원래 주제에서 탈선 / 사고의 목적 이탈
예) 주말에 뭐 했니? ~월드컵 우승은 누가할까?
- 사고지체 : 연상 느림 or 없음, 말 소리 : 느림 & 낮음 & 적음
- 우원증 : 많은 불필요한 내용 삽입. 엉뚱한 사고 후 사고의 목적 도달.
예) 주말에 뭐 했니?, 프랑스 & 유럽여행 & 자동차 → TV
- 지리멸렬 : 사고 진행 와해 & 논리적 연결 없음. 횡설수설
예) 주말에 뭐했니? 지난 겨울 바닷가에서~ 컴퓨터 바이러스가~
다. 사고 내용 장애
- 사고 경향 : 과잉결정적 사고 (과도한 집착). 비정상적 믿음 : 망상보다 경미
- 망상 : 불합리 & 사실과 다른 잘못된 신념. 이성적 & 논리적 방법으로 교정 어려움 예) 피해망상, 과대망상
- 강박사고 : 생각 않으려 노력하나 자꾸 떠오르는 생각
6) 감정 장애(Disorders of emotion)
- 감정(emotion:정서)이란? : 정서가 신체생리적인 외적 표현을 드러나는 것
정상일수도 & 우울할 수도 & 고양될 수도~ 기분(mood)과 정동(affect) 포함
- 기분(mood) : 전반적이고 지속적인 감정. 주관적 감정.
- 정동(affect) : 외부로 드러난 감정. 객관적 상태. 얼굴표정 & 말 & 행동 등
가. 기분장애
- 고양된 기분 : 보통 이상의 즐거운 기분
- 우울 : 슬픈 느낌의 정동
나. 정동장애
- 불충분한 정동 : 쾌·불쾌에 대한 감수성이 감소된 상태
- 부적절한 정동 : 상황에 어울리지 않게 웃거나 우는 것
7) 지남 장애(Disorders of orientation)
- 지남력(orientation) : 환경을 이해하고 그에 대해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능력
시간 & 장소 & 사람(타인)
8) 기억장애(Disorders of memory)
가. 기억착오
- 무의식적으로 거짓기억을 하는 것
나. 기시감, 미시감
- 낯선 것을 전에 본 것 같이 느끼는 현상
- 전에 알고 있는 것에 대해 생소하는 느끼는 것
다. 기억항진
- 지엽적, 지나치게 자세한 것 까지 기억해 내는 것
- 특정 사건과 관련 시~
라. 기억상실
- 기질성 기억상실 : 뇌손상시
- 심인성 기억상실 : 목적 – 불안의 방어
범위 – 선택적 & 일정기한 국한
발생과 회복 – 특정사건시 갑자기 ~ 완전 회복
9) 지능 장애(Disorders or intelligence)
가. 지능 장애
- 유전적·선천적·발육 초기 여러 가지 원인으로 지능발달이 이루어지지 않아 지능이 낮은 상태(IQ70 이하)
나. 치매
- 생후 지능 정상적 발달, 후천적 뇌기능 장애 -> 영구적·비가역적으로 저하
10) 통찰력, 병식 장애(Dirorders of insight)
- 병식(통찰력)insight : 자신이 처한 상황의 진정한 원인과 의미를 이해하는 능력
가. 지적 병식
- 상황을 객관적 현실로만, 지식적으로 인식
나. 진정한 병식
- 상황을 객관적 현실인식 + 극복을 위한 동기 & 힘을 가진 상태
예) 알코올 Client의 사례
부산디지털대학교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정신건강사회복지실천 (0) | 2022.08.15 |
---|---|
생태체계적 관점 (0) | 2022.08.15 |
정신병리의 증상(1) (0) | 2022.08.15 |
정신건강과 정신장애 (0) | 2022.08.15 |
우리나라 정신건강사업의 전달체계 (0) | 2022.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