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정신건강사회복지실천
1) 지역사회정신건강 프로그램의 목적
- 지역사회정신건강 프로그램 : Client의 원활한 지역사회 적응(복귀) 위한 상호작용 증진 위한 원조체계
가. 목적
- 정신장애인들이 지역사회에서 적절히 기능하도록 돕는 것
- 심리적 : 스트레스 대처기술 개발
- 환경적 : 지역사회의 자원(지지체계) 개발 => Client vs 환경 간 상호교류(작용) 촉진
2) 정신질환을 가진 클라이언트의 이해
가.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클라이언트
- 환경과의 적응에서 부조화, 환경체계와 상호작용 원활하지 못한 사람
나.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정신질환을 가진 클라이언트
- 생물학적 취약성 + 스트레스 대처능력 부족 + 사회적 자원(지지체계) 부족
- 잔여증상 & 기능장애 & 실업(재정적 의존), 미혼 & 가족불화 악순환
2. 지역사회정신건강 프로그램에서 4체계 모델
- Pincus & Mianhan(1973)
- 여러 수준 체계들의 상호작용 설명
1) 변화매개체계
- 정신건강전문가를 고용하고 있는 기관 및 조직
- 변화매개인 : 변화를 목적으로 고용된 ‘돕는 사람’ - MSW
- 개입목표 : 심리적 & 환경적
1) 스트레스 대처기술 향상
2) 지지체계(자원) 개발
- 제공서비스 : 사회기술훈련, 직업재활, 사례관리, 사회적지지 체계들과 교류기술 습득 & 교류 증진 & 새로운 체계 형성
2) 클라이언트체계
- 정신건강서비스·도움 필요로 하는 자
- 변화매개체계와 계약 시 Client 체계
- 서비스 제공받는 개인 & 가족 & 기관 등
3) 표적체계
- 변화매개인이 목표 성취 위해, 영향·변화시킬 필요가 있는 자
- 변화매개체계가 직접 개입하는 체계
- 개인 & 가족 & 기관 등
4) 행동체계
- 표적체계 변화 위해 변화매개인과 함께(상호작용) 일하는 사람들
- Client 체계 & 표적체계 : 같을 수도, 다를 수도 있음
- Client(중요) & 가족 & 이웃 & 자원봉사자 & 정신건강전문가
* 클라이언트 체계 = 표적체계 - Client가 문제 해결 위한 변화의 대상인 경우 - 예) 자신의 우울증 상담을 위해 내방한 Client * 클라이언트 체계 ≠ 표적체계 - Client의 문제 해결 위해 다른 사람이 변화의 대상인 경우 - 예) 알코올 중독자 남편을 부인이 의뢰 -> Client 체계 : 부인 => 사회적지지, 사례관리 -> 표적체계 : 남편 => SST, 직업재활, 자조모임 |
부산디지털대학교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정근거모델과 사정분류체계(1) (0) | 2022.08.15 |
---|---|
정신사회재활에서 강점관점 (0) | 2022.08.15 |
생태체계적 관점 (0) | 2022.08.15 |
정신병리의 증상(2) (0) | 2022.08.15 |
정신병리의 증상(1) (0) | 2022.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