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점관점의 이해
1) 강점관점(strength perspective)
가. 정의
- Client 다양한 문제 해결을 돕는 사회복지실천 활동 과정에서 Social Worker 가 Client 강점과 자원을 발견, 묘사, 탐색, 활용하려는 노력
나. 필요성
- 본인의 관점, 사고틀로 사물과 타인 판단
-> MSW 관점 : 개입전략·실천과정에 영향을 준다.
- SW 강점관점의 활동 : client 역량 실현 돕는 과정·사회복지가치(잠재력인정) 일치
-> 문제해결에 효과적. 특히, 만성 정신장애인 & 알코올, 약물중독
* 패러다임의 전환 필요 -> client 능력을 지지할 때만 개인은 성장할 수 있다.
다. 강점관점의 배경
- 인간의 잠재적 역량에 대한 믿음
->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는 큰 능력이 숨겨져 있다.
라. 주요가정(믿음체계)
- ① 인간은 성장·변화를 위한 능력을 가지고 있고 회복할 수 있다(희망, 믿음).
-> 질병에 의해 일시적으로 가려져 있을 뿐…
- ② 사람들은 그들의 상황을 정의하는데 중요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
-> Client, 본인의 삶에 무엇인가 알고 있다.
- ③ 삶의 어려운 문제에 불구하고 client는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점이 있다.
-> 탄력성(resilience)
- ④ client의 동기는 client가 정의하는 강점을 지속적으로 강조할 때 촉진될 수 있다.
-> 긍정적 기대의 효과 – 자기충족적 예언(Pygmalion effect & rosenthal effect)
- ⑤ 강점의 발견은 client & MSW 간의 협력적 탐색의 과정을 요구한다.
-> 수평적 관계 : Client 자신문제 전문가
- ⑥ 삶은 할 수 없는 것보다 할 수 있는 것에 초점을 맞출 때 더 나아진다.
-> MSW : 무엇인가 잘 할 수 있는 능력 있다 지지
Client : 긍정적 성장가능성 촉진
2. 정신장애인에 대한 강점관점으로의 이해
1) 변화의 도구로서 강점관점
- 개입과정에서의 함정
-> MSW 전문가와 Client 서비스 수용자의 수동적 존재로의 인식
- 정신건강실천현장에서 강점관점으로의 전환 의미
-> 개입 전략·실천과정 결정의 중요 변수
* 병리적 관점과 강점관점의 비교
병리적 관점 | 강점 관점 | |
초점 | 병리 · 결점 · 증상 · 실패 | 자원 · 동기 · 장점 · 능력 · 자산 |
관계 | 수직적 관계 | 수평적 관계(협력적 평등) |
개입 | 문제원인 조사 · 처방 | Client - 어떻게 변화하기 원하는가? - 무엇을 하고 싶은가? |
태도 | Client 수동적 · 무기력 |
Client - 자발적 · 적극적(역량강화) - 공동의 노력 |
예) 진단(diagnosis) vs 사정(assessment)
3. 정신사회재활에서 강점관점의 유용성
1) 정신사회재활의 정의
- psycho-social rehabilitation
- Client의 강·약점 평가
- 지역사회에서 최적의 기능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
- 국제정신사회재활협회, IAPSRS, 1985
2) 정신재활에서 정신건강사회복지사 개입 목적
- 지역사회에 참여하기 위한 client의 기회와 권리 향상(김만두 외, 1999)
- 최소한의 전문적 개입으로 client 스스로 환경을 선택하고, 성공적이며 만족스럽게 살 수 있도록 기능 증진(Anthony, 1991)
3) 정신사회재활에서 강점관점의 유용성
- Client의 잠재적인 개인능력 인정
- 사회적 보호
- 병리 < 강점
- 지금-여기
- 잠재력 활용 가능, 자원개발 -> 지역사회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데 효과적
- Client의 가능성 부각 -> 타전문직과의 차별화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정근거모델과 사정분류체계(2) (0) | 2022.08.15 |
---|---|
사정근거모델과 사정분류체계(1) (0) | 2022.08.15 |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정신건강사회복지실천 (0) | 2022.08.15 |
생태체계적 관점 (0) | 2022.08.15 |
정신병리의 증상(2) (0) | 2022.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