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신건강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생태체계적 관점
- 환경 속의 인간 person-in-environment -> 개인 & 환경 간 교류 중시
1) 생태체계이론의 발달, 특징, 인간관
가. 발달
- 체계이론 system theory (Bertalanffy, 1967) + 생태학 ecology (Auerswald, 1968)
-> 인간발달 과정연구에 두 관점 통합 -> 생태적 체계 ecological system (Bronfenbrener, 1979)
=> 사회복지실천 적용
=> 생태체계모델eco-system model(Germain & Gitteman, 1980) : 생활모델
체계이론 system theory (Bertalanffy, 1967) | 생태학 Ecology (Auerswald, 1968) | |
특징 | - 모든 생물 ‘체계’로 구성 예) 하위체계 & 상위체계 - 각 부분보다는 전체(wholes) 중시 |
- 생물이 환경에의 ‘적응과정’에 관심 - 인간(생물) 생존 위해 ->환경에 적응, 환경을 변화 |
초점 | ‘구조’ 강조 | - ‘상호작용’ & ‘교류’ 강조 - 상호작용(interaction)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역동적인 관계 - 교류(transaction) 상호작용하는 환경과 인간과의 관계 |
나. 특징
전통적 의료 모델 | 생태체계적 모델 (사회복지) | |
기본 시각 | 단선적·인과론적 원인 -> 결과 | 순환론적·상호작용 원인<-->결과 |
문제 원인 | 정신병리 | 개인·환경간 상호작용의 결과 생활상의 문제(적응) |
개입 초점 | 개인 | 개인·환경간의 ‘상호작용’ |
다. 인간관
- 인간 & 환경 : 상호작용
- 호혜적 관계 유지 & 변화 & 발전 가능
- 낙관론적·긍정적
- 인간행동 변화가능
2) 행동부적응과 정신건강에 대한 기본적 관점
가. 기본적 관점
- 인간의 어떤 행동도 부적응적 행동으로 규정하지 않는다.
- 정신적 불건강 : 동일 관점으로 조망
-> 인간의 모든 행동은 적응의 과정이다. -> 적응 : 비난 & 낙인 금지
-> 문제 행동은 그 환경안에 의미가 있는 것이다.
나. 생태체계이론의 강조점
- 적응(adaptation) : 개인 vs 환경간의 적절한 결합(적합)
- 적합(fit) : 개인적 욕구 vs 환경적 욕구 사이의 조화 & 균형
3) 적응과 부적응의 관점
가. 적응
- 적응 잘 된 상태 : 적합(fit)
- 인간 & 환경 간의 긍정적 상호작용 -> 개인의 상호적응적 기능 향상
나. 부적응
- 적응 잘 되지 않은 상태
- 인간 & 환경 간 파괴적 & 사회적 기능 위축 -> 개인의 성장 & 발전 저해 or 환경도 손상
▶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역할
- 생태체계적 이론(관점)에서 Client 문제 조망 필요
- 개인과 상호작용하는 환경수준에 대한 이해 필요
- 개인·환경간의 상호작용에 개입 -> 변화가능성 확대
2. 개인이 상호작용하는 환경의 수준
1) 미시체계
- micro system
- 개인에게 가장 인접한 수준의 환경
- 직접적·대면적 상호작용
- 가족, 또래, 학교, 교회 등
2) 중간체계
- meso system
- 미시체계 간 관계·상호작용
- 부모-교사 & 이웃들간의 관계
3) 외체계
- exo system
- 개인발에 영향 미치는 사회적 환경
- 직장환경 & 지역사회
4) 거시체계
- exo system
- 간접적 영향, 강력
- 사회, 문화, 경제, 정치, 관습
* 개인에게 영향 미치는 주변 체계와의 관계 그림으로 묘사 : 생태도(eco-map)
부산디지털대학교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사회재활에서 강점관점 (0) | 2022.08.15 |
---|---|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정신건강사회복지실천 (0) | 2022.08.15 |
정신병리의 증상(2) (0) | 2022.08.15 |
정신병리의 증상(1) (0) | 2022.08.15 |
정신건강과 정신장애 (0) | 2022.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