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신병리의 이해
- Client에서 관찰되는 비정상적인 경험·행동·인지
- 일정한 적응상태의 파괴
- 정신질환 유발인자 : 극심 or 누적 시
- 환경에의 적응 결과 : 어떤 방어기제 사용?, 얼마나 효과적으로 대처?
- 정상적 행동, 신경증적 행동, 정신병적 행동
- 우리가 정신병리를 이해해야 하는 이유?
1> 정신장애의 객관적 이해·사정·효율적 서비스 계획의 준거 틀
2> 전문직 간의 의사소통(다학제간 서비스)
2. 정신병리증상의 종류
1) 의식장애(Disorders of consciousness)
가. 주의력 장애
- 주의산만
- 집중&관심을 충분한 기간 동안 유지 못하고 계속 다른 자극에 주의 돌리는 것
나. 의식의 혼탁
- 착란, 섬망, 혼미, 혼수
- 주위 자극을 제대로 지각 못하거나 상대방 말에 대한 이해력 상실된 상태
- 착란 : 자극에 신속한 반응 어려움 & 이해력 감퇴 상태
-> 특징 : 사소한 일에 당황 & 혼돈 & 연상 장애 지남력 장애 & 사고의 빈곤
- 섬망 : 의식 혼탁이 심한 경우
-> 특징 : 당황 & 안절부절 & 환각 & 착각 경험
- 혼미 : 의식장애 중 가장 정도가 심한 것. 약간의 의식만 있음
-> 특징 : 운동능력 상실 & 외부자극에 반응 거의 없음
- 혼수 : 모든 정신활동 중지 : 의식 없음. 신경조직 기능 마비
-> 특징 : 생명유지를 위한 심장 & 폐 기능만 유지
2) 행동장애(Disorders of activity)
- 표정과 태도는 의사소통의 수단이다 : Client의 내면세계
가. 행동증가(increased activity)
- 필요 이상으로 지나치게 많은 활동. 내적 정신운동(욕구) 증가 – 조증
나. 행동감퇴(decreased activity)
- 활동에 대한 욕구 저하. 동작, 말수, 목소리, 사고 흐름 – 우울증
다. 반복행동(repetition activity)
- 강직증 : 부동의 자세
- 납굴증 : 불편한 자세 그대로 유지
- 상동증 : 같은 행동 반복
- 음송증 : 의미 없는 단어 & 문장 반복
- 보속증 : 뇌의 장애로 같은 말 & 행동 반복
라. 거부증(negativism)
- 상대방 요구 묵살 &적극적 반대행동
- 함구증 & 음식(투약) 거부, 목적 : 적개심, 증오, 상대불안 야기
마. 강박행동(compulsion)
- 스스로 자신 행동 무의미 · 불필요함 알면서도 행동 반복하지 않고는 견딜 수 가 없는 병적 행동
- 강박사고 동반 (손씻기 등)
바. 공격성(aggression)
- 분노, 증오 표현 → 언어, 행동 표현
- 폭행 & 폭언 & 자해 & 파괴 등
3) 지각장애(Disorders of perception)
- 지각(perception) : 외부의 감각자극 사실 그대로 파악. 그 자극과 자기 자신과 의 관계 이해 능력
가. 착각
- 외부 자극에 대한 감각적 인식을 잘못 해석하는 현상
나. 환각
- 환청, 환시, 환후, 환미, 환촉
- 자극이 없는데도 마치 외부에서 자극이 있는 것처럼 지각하는 현상
4) 언어장애(Disorder of language)
가. 언어압박
- 말이 많고 빠르며 중단 시키기 어려운 경우 : 조증
나. 다변증
- 말이 많으나 논리적인 경우도 있음
다. 언어빈곤
- 말과 언어적 행동 감소. 사고의 황폐화 의미
- 무언증 : 지능장애 & 치매
라. 실어증
- 습득한 언어기능이 특정 원인에 의해 표현과 이해에 장애가 있는 상태
부산디지털대학교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체계적 관점 (0) | 2022.08.15 |
---|---|
정신병리의 증상(2) (0) | 2022.08.15 |
정신건강과 정신장애 (0) | 2022.08.15 |
우리나라 정신건강사업의 전달체계 (0) | 2022.08.15 |
우리나라 정신건강사업의 현황 (0) | 2022.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