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우리나라 정신건강사업의 전달체계
1) 정신질환자현황과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실태
- 정신질환 평생 유병률 : 성인 4명 중 1명(25.4%)
- 정신건강서비스 이용률 : 2016년 기준 일반인 6.9%, 정신질환자 22.2%
2) 정신건강증진기관 현황과 주요기능
가. 정신건강증진기관 현황(보건복지부. 2020년 기준)
- 정신건강복지센터 : 243개
- 정신의료기관 : 1,449개
- 정신재활시설 : 349개
- 중독관리 통합지원센터 : 50개
- 정신요양시설 : 59개
=> 전국 2,555개
나. 정신건강증진기관의 주요기능
- 정신건강복지센터 : 지역사회 내 정신질환의 예방, 정신질환의 발견 & 상담 & 사례관리, 지역사회정신건강 사업기획&조정·정신건강증진 시설 간 연계체계
- 정신의료기관 : 국공립(정신질환지 진료, 지역사회정신건강사업 지원)
민간(정신질환자 진료)
- 정신재활시설 : 정신질환자 사회복귀촉진을 위한 재활훈련실시
- 중독관리 통합지원센터 : 중독예방 & 중독자 상담 및 재활훈련
- 정신요양시설 : 만성정신질환자의 요양 & 보호
3) 정신건강전문요원 자격기준
- 정신건강복지법 제 17조 2항
- 정신건강전문요원 :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정신건강간호사, 정신건강임상심리사
가. 정신건강사회복지사
- 1급 :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 전공 석사이상, 수련기관에서 3년 이상 수련 or 2급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자격 취득 후 5년 이상 임상실무 경력
- 2급 : 사회복지사 1급 자격자, 수련기관에서 1년 이상 수련
나. 정신건강간호사
- 1급 : 간호사 면허 취득자. 간호학 전공 석사 이상. 수련기관에서 3년 이상 수련
or 2급 정신건강간호사 자격 취득 후 5년 이상 임상실무 경력
or 2급 정신건강간호사 자격 소지자로 5년 이상 간호대학에서 정신간호분야 전임강사 이상
- 2급 : 간호사 면허. 수련기관에서 1년 이상 수련. 정신전문간호사 자격소지자
다. 정신건강임상심리사
- 1급 : 1급 임상심리사 자격소지자로 3년 이상 수련
- 2급 : 심리학 전공(임상심리 관련 과목 이수자)·수련기관에서 1년 이상 수련.
2급 임상심리사 자격소지자로 1년 이상 수련
부산디지털대학교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병리의 증상(1) (0) | 2022.08.15 |
---|---|
정신건강과 정신장애 (0) | 2022.08.15 |
우리나라 정신건강사업의 현황 (0) | 2022.08.15 |
지역사회 정신건강 (0) | 2022.08.15 |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과 낙인 및 극복방안 (0) | 2022.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