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정신건강 사회복지론

지역사회 정신건강

728x90

1. 지역사회정신건강의 이해

 
1) 지역사회정신건강의 정의 

 

- Community Mental Health 


- ‘지역사회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정신건강 활동’ Bloom, 1984 

 

- 지리적 영역에 기초하여 


- 집합적 동질성을 가진 구성원들 상호행동

 

 

- 공동 욕구 충족, 공동 목적 성취
- 사회적 단위에서 정신건강 지키고 유지 활동 

 


2) 지역사회정신건강의 기본원칙 

 

가. 최소한의 규제 원칙 


- 격리·수용 대단위 시설 입원치료 
   -> 자유, 친근한 환경에서의 치료 & 재활 & 보호로 전환 

 

나. 보통화/정상화 원칙 


- 격리·수용 대단위 시설 입원치료 
   -> 생활리듬, 생활환경, 주거의 보통화 
   -> 보통 사람의 생활조건과 비슷한 상태의 생활조건 & 자율 보장 

다. 사회통합 원칙 


- 격리·수용 대단위 시설 입원치료 
   -> 친근한 생활환경(주건 & 자원) 지원.

   -> 특수한 증상, 어려움 지닌 사람으로 이해

 


3) 지역사회정신건강의 목적 

 

가. 장애예방 


- 정신장애의 발병 & 재발, 만성화 감소 

 

나. 기능적 기술재활 


- 질병으로 인해 손상된 기술습득 


- 일상생활기술, 대인관계기술, 직업기술, 여가선용기술 

 

다. 질병관리 


- 자신의 증상 이해 & 효과적 대처법 터득 

 

라. 삶의 질 증진 


- 일반인과 비슷한 환경에서 질적인 만족스러운 삶 영위 => 지역사회정신건강의 궁극적 목적 

 


2. 지역사회정신건강의 등장배경 


1) 정신건강법의 입법 – 세계 2차 대전 


2) 약물치료의 효과 


– 1950년 말. 항정신병약물 개발로 격리·감금 불필요. 


3) 인도주의 이념 


- 1960년. 대단위 주립정신병원의 비인간적 처우·장기입원 반기

4) 재정부담 


- 대단위 정신병원 낙후. 건물유지·보수, 24시간 보호인력 


5) 탈시설화 


- 1963년 탈시설화 정책 


- ‘최소한의 규제’ 지역사회정신건강법, 지역사회 정신건강센터법

 

 

 

 

 

 

 

 

부산디지털대학교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