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역사회정신건강의 이해
1) 지역사회정신건강의 정의
- Community Mental Health
- ‘지역사회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정신건강 활동’ Bloom, 1984
- 지리적 영역에 기초하여
- 집합적 동질성을 가진 구성원들 상호행동
- 공동 욕구 충족, 공동 목적 성취
- 사회적 단위에서 정신건강 지키고 유지 활동
2) 지역사회정신건강의 기본원칙
가. 최소한의 규제 원칙
- 격리·수용 대단위 시설 입원치료
-> 자유, 친근한 환경에서의 치료 & 재활 & 보호로 전환
나. 보통화/정상화 원칙
- 격리·수용 대단위 시설 입원치료
-> 생활리듬, 생활환경, 주거의 보통화
-> 보통 사람의 생활조건과 비슷한 상태의 생활조건 & 자율 보장
다. 사회통합 원칙
- 격리·수용 대단위 시설 입원치료
-> 친근한 생활환경(주건 & 자원) 지원.
-> 특수한 증상, 어려움 지닌 사람으로 이해
3) 지역사회정신건강의 목적
가. 장애예방
- 정신장애의 발병 & 재발, 만성화 감소
나. 기능적 기술재활
- 질병으로 인해 손상된 기술습득
- 일상생활기술, 대인관계기술, 직업기술, 여가선용기술
다. 질병관리
- 자신의 증상 이해 & 효과적 대처법 터득
라. 삶의 질 증진
- 일반인과 비슷한 환경에서 질적인 만족스러운 삶 영위 => 지역사회정신건강의 궁극적 목적
2. 지역사회정신건강의 등장배경
1) 정신건강법의 입법 – 세계 2차 대전
2) 약물치료의 효과
– 1950년 말. 항정신병약물 개발로 격리·감금 불필요.
3) 인도주의 이념
- 1960년. 대단위 주립정신병원의 비인간적 처우·장기입원 반기
4) 재정부담
- 대단위 정신병원 낙후. 건물유지·보수, 24시간 보호인력
5) 탈시설화
- 1963년 탈시설화 정책
- ‘최소한의 규제’ 지역사회정신건강법, 지역사회 정신건강센터법
부산디지털대학교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정신건강사업의 전달체계 (0) | 2022.08.15 |
---|---|
우리나라 정신건강사업의 현황 (0) | 2022.08.15 |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과 낙인 및 극복방안 (0) | 2022.08.15 |
우리나라 정신건강사회복지의 발달 (0) | 2022.08.15 |
서구 정신건강사회복지의 발달 (0) | 2022.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