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우리나라 정신건강사회복지의 발달과정
1) 태동기(1945년~1969년) : 의료모델
가. 1945년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발족(MSW: morgan)
- 청소년 문제 관심
- 정신의학, 심리학, 사회복지학(SW: 권기주)
나. 1958년
- 서울시립아동상담소 개설
- 팀접근 시도 : 정신의학·사회복지(하상락 교수)·심리학·법률
다. 1962년
- 국립 정신병원 개원. MSW(김원진)
- 정신건강사회사업 서비스 & 실습
라. 1963년
- 성모병원 신경정신과 전임 MSW(이미영). 개인력 조사 & 가족상담
마. 1968년
- 중앙대 부속 필동 성심병원 신경정신과 개설. MSW(정의방, 박순자)
- 개인력 조사, 집단지도, 가족상담, 가정방문
바. 1969년
- 계명대부속 동산기독병원 신경정신과. MSW(김기태)
- 개인력조사, 가족상담, 집단치료
2) 발전기(1971년~1978년) : 정신의학적 사회사업
가. 1973년 : MSW 정신과 전문병원 근무
- 의료법시행령(대통령령 제6893호) 개정
- 종합병원에서 환자의 갱생, 재활, 사회복귀를 위한 상담 및 지도를 위해 사회복지사업이 정한 사회복지사를 1인 이상 두도록 명시
나. 1974년
- 안양신경정신병원, 고려대 부속병원, 이대 부속병원, 서울기독병원 MSW 채용
다. 1976년
- 서울 백제병원 MSW 채용
라. 1977년
- 의료보험 개정 ‘정신의학적 사회사업’
- 개인력조사, 사회사업조사, 사회사업지도, 가정방문
3) 정착기(1980년~1990년) : 지역사회 모델
- 전국적 약 100여개 기관 MSW 활동
가. 1995년
- 정신보건법 제정
- MSW 활동범위 : 지역사회로 확대
나. 1997년
- 정신보건법 시행
- 정신건강전문요원 수련 시작
다. 2000년
- 알코올상담센터 시범사업(4개소)
라. 2002년
- 아동청소년정신보건사업(16개소)
마. 2005년
- 생명사랑 및 자살예방사업 추진
바. 2017년
-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약칭 : 정신건강복지법) * 현재 *
- ‘정신건강사회복지사’ → 특수전문직
-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역할 확대 : 예방 & 치료 & 재활
부산디지털대학교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사회 정신건강 (0) | 2022.08.15 |
---|---|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과 낙인 및 극복방안 (0) | 2022.08.15 |
서구 정신건강사회복지의 발달 (0) | 2022.08.15 |
정신건강영역에서의 팀워크 (0) | 2022.08.15 |
정신건강사회복지의 정의 (0) | 2022.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