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영국 정신건강사회복지의 발달과정
1) 태동기(1880년대~1920년대)
가. 1880년대
- 정신병원 퇴원 환자의 거주지 알선
- 위탁가정, 사회복지시설, 요양원, 지역사회적응위한 가족지도, 직장알선 등
나. 1920년대
- 정신건강운동, 아동상담소 중심 전개
- 타전문가들과의 팀 작업 : 정신장애 아동
2) 발전기(1930년대)
가. 정신의학(대도시 중심), 정신병원 중심 발달
- 사회력조사, 사후 서비스, 환자 & 가족 지원, 퇴원 지원
- 병원 내 타 서비스 지원(행정 등), 치료 및 조사, 연구 참여
3) 정착기(1930년~1959년) / MSW 전문적 훈련
가. 1930년
- 영국정신건강사회복지사협회(BAPSW) 창립
나. 1944년
- 에든버러대학교 정신건강사회복지훈련센터 설치
다. 1947년
- 맨체스터대학교 정신건강사회복지훈련센터 설치
라. 1954년
- 리버풀대학교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수련과정 설치
마. 1959년
- 정신건강법 개정 : 지역사회 보호서비스 강조
- 지역사회정신건강센터 주요기능 : 입원·외래 환자 치료, 응급환자 진료, 부분입원, 지역사회자문 의뢰 및 교육프로그램
2. 미국 정신건강사회복지의 발달과정
1) 태동기(1773년~1905년)
가. 1773년
- 최초의 정신병원 설립(윌리암스버그)
- 감옥, 빈민원 감금 정신질환자 이전
나. 1900년
- 『마음의 실체』클리포드 비어스 정신건강협회 조직
다. 1904년
- 정신건강사회복지 원리 최초시도(아돌프 메이어) -> 가정방문 : 정신질환의 환경적 요인 탐색 -> 조기개입 권유
-> 회복기 : 작업·오락요법 시도, 사후지도 계획
-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역할
-> 생활력 조사, 환자&가족의 유대강화, 정신질환 악화 위기상황 회피 도움, 지역사회 & 병원의 관계 향상
라. 1905년
- 사회복지사 최초 채용(카봇 & 캐논) -> 메사추세츠 종합병원 신경진료소
- 질병과 사회사업과의 깊은 연관성 인식
- 사회사업프로그램 시작
2) 발전기(1913년~1918년)
가. 1913년
- ‘정신건강사회복지사’용어 최초 사용 -> 메리 자렛(MSW). 보스톤 정신병원
- 사이먼 대학 사회사업학과 : 최초 MSW 양성과정 개설
나. 1914년
- 팝스 진료소 책임자 MSW 채용(아돌프 메이어)
- 존스 홉킨스 병원
- 존스 홉킨스 대학, 사회복지학생 훈련부서 설치
다. 1918년
- 미국전역 정신과·정신병원 MSW 채용
-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역할
-> 초기 : 정신의학자의 보조자
-> 점차 : 정신의학적 팀의 동등한 구성원 역할 수행
정신의학적 교육 + 정신분석 지식
3) 정착기(1922년~1974년) : MSW 전문적 위치 확립
- 지역사회정신건강체계 확립
- 아동상담소-정신건강계몽운동 활발
가. 1922년
- 실천범위의 확대 -> 세계 1,2차 대전 => 군 & 보훈병원 MSW 채용
나. 1942년
- 군내 정신건강사회복지서비스 시작
다. 1951년
- 공군,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장교 직위 인정
라. 1963년
- 지역사회정신건강법, 지역사회정신건강센터법 제정
마. 1974년
- 의료부대 16개 전문직 중 정신건강사회복지직 포함 * 오늘날의 MSW *
- 자문, 기획, 교육자 역할
- 리더쉽-행정 역할
- 전문성 요구 : 수련과정, 석사학위 이상
부산디지털대학교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과 낙인 및 극복방안 (0) | 2022.08.15 |
---|---|
우리나라 정신건강사회복지의 발달 (0) | 2022.08.15 |
정신건강영역에서의 팀워크 (0) | 2022.08.15 |
정신건강사회복지의 정의 (0) | 2022.08.15 |
정신건강사회복지의 개념 (0) | 2022.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