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신건강사회복지 정의의 다양성
1) 정신건강사회복지의 관점
가. 정신의학 영역의 규정
- 정신의학적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전문적인 사회복지 실천
- 의료사회사업 분야에서 분화되어 정신의학적 지식 & 기술을 갖춘 전문화된 영역으로 발전
나. 사회문화적 환경
- 정신의료사회복지(psychiatric mental health : PSW)
: 병원 중심의 사회복지활동
- 정신건강사회복지(mental health social work : MSW)
: 병원 및 정신건강실천이 이루어지는 다양한 영역을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
다. 학자
2) 정신건강사회복지 정의 시 고려 사항
가. 실천의 본질 강조
- 본질적으로 특수한 것
- 사회복지실천과정에 지식 활용 (정신의학적 지식-정신병리 & 정신역동 등)
나. 실천의 장소 강조
- 사회복지실천 장소의 한 분야 (정신건강증진기관 & 정신건강프로그램)
2. 정신건강복지의 국가별 정의
1) 영국
가. 1930년대
- 의학계(정신의학의 보조업무) vs 사회복지계(독립성 강조)
나. 1940년대
- MSW : 정신의학자 포함된 팀의 팀 구성원
- 조언 등의 전문적 서비스 제공
- 지역사회가 정신건강에 대한 이해하도록 활동
다. 1950년대
- MSW : 자문 / 슈퍼비전 등에서 리더쉽 발휘 (훈련되지 않은 사회복지사 대상)
- 자신감 증대 & 사회복지의 정체성 발달의 결과
라. 여러 학자들의 정의
정신건강사회복지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 | |||
학자 | 핀크 (Fink, 1949) | 허니번 (Hunnybun, 1964) | 프리드랜드 (Friendlander, 1967) |
정의 | 병원 또는 진료소에서 실시하는 개별사회사업 (casework) |
인간행동에 관한 심리학적 이해에 기초한 개별사회사업 (casework) |
병원과 진료소 또는 정신건강기관이 후원하여 실시하는 개별사회사업 (casework) |
강조점 | 실천장소 강조 | 실천본질 강조 | 실천장소 강조 |
2) 미국
가. 오키프 (O’Keefe, 1954)
- 정신건강기관(Mental Health Agency)또는 정신위생프로그램에서 이루어지는 사회복지
- 실천장소 강조
나. 전국 사회복지사협회(NASW)
- 정신건강사회복지라는 것은 하나의 뚜렷한 실천방법 보다는 장(場)을 나타내는 것
다. 사회복지교육협회
-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기능 : 정신장애인의 진단, 치료 및 재활을 위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3) 한국
가. 1962년
- 국립정신병원 개원
- 정신과 의료진으로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채용
나. 대상
- 정신적·정서적 장애를 가진 Client & 가족
다. 주체
- 정신건강사회복지사
라. 활동장소
- 병원, 진료소, 정신건강기관, 지역사회
마. 목적
- 정신적·정서적 장애로 고통 받고 있는 사람들의 건강 회복 + 정신건강 촉진 활동
- 1차 예방 > 2차 치료 > 3차 재활
바. 접근방법
- 개별 사회사업 + 제반 사회복지 방법론 ---> 적용 확대
3. 정신건강사회복지의 정의
정신적·정서적 질환으로 전문적인 도움이 필요한 정신장애인 & 가족을 위해
정신의료기관 & 정신건강기관 등에서
정신건강전문가들로 구성된 치료팀의 일원으로
정신장애인, 가족에게 심리·정서적 서비스를 제공하여
정신건강 & 사회적 기능회복, 재활 그리고 사회복귀를 도모하고
나아가 지역사회 구성원의 정신질환을 예방 및 정신건강의 촉진 위해
사회복지실천기술을 바탕으로 제반 사회복지를 실천하는 과정
부산디지털대학교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구 정신건강사회복지의 발달 (0) | 2022.08.15 |
---|---|
정신건강영역에서의 팀워크 (0) | 2022.08.15 |
정신건강사회복지의 개념 (0) | 2022.08.15 |
우울장애의 하위 유형(2) (0) | 2022.07.14 |
우울장애의 하위 유형(1) (0) | 2022.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