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신건강사회복지의 의의
1) 건강보험확대
- 건강보험의 전면적 시행
- 의료수요 급증
- 의사1인당 환자 진료 시간 절대적 부족
- 정신의학에서도 정신장애를 지나치게 생물학적으로만 이해하는 경향 => 전인적 이해 부족
2) 의학적 개념 확대
- 예방 => 치료 => 재활
- 사회적 기능(역할) 유지 위한 관리 & 지원 서비스(가족) 중요
ex) 만성질환(고혈압, 당뇨 등)
- 정신의학(건강) 영역에서도 재활 중요 => 정신사회재활의 필요성 증가
3) 성공적 사회 복귀
- 정신질환 증상 완화 + 재활 서비스
=> 지역사회 재활서비스 개발·연계 및 원조 필요
4) 정신건강사회복지 원조 전문직
가. 재활서비스 담당자의 필요성 대두
- 환자 증상 완화
- 가족부담 => 욕구 발생
- 지역사회 복귀 => 지역사회 재활서비스 필수
나. 정신건강사회복지사
- 사회과학적 지식
- 정신의학자 역할, 책임분담
- 병원(치료) + 지역사회(자원·서비스 연계)
=> 정신장애인 사회적 기능 수행을 돕는 원조 전문직
=> 만성정신장애인과 가족의 다양한 욕구 충족 & 성공적 사회복귀 원조 전문가
2. 정신건강사회복지의 구성요소 (5P)
1) 사람(PERSON)
가. 환자, 클라이언트
- 정신장애인, 부적응적, 일탈적 이상행동자
2) 문제(PROBLEM)
가. 클라이언트의 정신장애
- 정서적 및 정신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상태
- 적절한 ‘사회적 역할 수행 불가’
3) 장소(PLACE)
가. 정신건강증진기관
- 정신병원(의원)
- 정신요양원
- 정신재활시설
- 정신건강복지센터
-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4) 과정(PROCESS)
가. 사회복지 제방법론 활용
- 클라이언트의 기본적 욕구 충족
- 퇴행된 행동의 억제
- 부족한 생활학습 기회제공(사회적 역할 수행훈련)
-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생활 학습
5) 목적(PURPOSE)
- 정신건강회복 -> 사회적 기능향상 -> 지역사회적응
- 삶의 질 향상
- 모든 시민의 정신건강 증진 도모
학습정리
1. 정신건강사회복지의 개념
1) 정신건강사회복지의 의의
건강보험의 확대 & 의학개념의 확대 & 성공적 사회복귀
2) 정신건강사회복지의 구성요소(5P)
사람(person) & 목적(purpose) & 과정(process) & 장소(place) & 문제(problem)
부산디지털대학교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건강영역에서의 팀워크 (0) | 2022.08.15 |
---|---|
정신건강사회복지의 정의 (0) | 2022.08.15 |
우울장애의 하위 유형(2) (0) | 2022.07.14 |
우울장애의 하위 유형(1) (0) | 2022.07.14 |
우울증의 이해와 발생요인 (0) | 2022.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