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우울장애의 하위 유형(1)
1) 파괴적 기분조절곤란 장애
- DSM-5에서 추가된 진단명
가. 핵심증상
- 만성적 & 지속적인 이자극성(irritability) – 과민성, 화를 잘 냄
- 우울 상태에 있다가 만성적 불쾌감(짜증), 간헐적인 분노폭발
- 자극에 비해 강도 & 기간 : 현저하게 과도
- 언어적(언어적 분노, 만성적 짜증), 행동적(사람 or 소유물에게 신체적 폭력) -> 발달수준에 부적절
나. 주요증상
- 언어적 & 행동적 반복적인 심한 분노폭발
- 평균 매주 3회 이상 발생
- 증상 12개월 이상 지속
- 증상이 3가지 상황(가정, 학교, 동료와 함께 있는 상황) 중 최소 2개 이상 & 이중 1개는 심하게 발현
- 연령 : 6~18세에만 진단
-> 1년 유병률 : 아동 ·청소년의 2~5%
다. 발병시기
- 10세 이전에 시작되어 진단됨
라. 경과 및 예후
- 경과 : ADHD & 불안장애 & 물질사용장애 & 주요울울장애 동반 多
- 예후 : 정보처리능력 & 의사결정 or 인지 조절문제 발생하기도 함
성인 이후
- 불안 or 우울 심함 & 낮은 교육수준
사회적 고립 & 경찰 문제 多
2) 지속적 우울장애
- DSM-5에서 추가된 진단명
가. 핵심증상
- 만성적인 우울감 : 우울증상 가볍지만, 거의 매일 & 하루 종일 지속
-> 인생은 좋아지지 않는 부담의 연속
- DSM-Ⅴ : 지속적 우울장애 / DSM-Ⅳ : 만성주요우울장애 + 기분부전장애
나. 주요증상
- 주요우울장애보다 경미한 우울한 기분 최소 2년 이상 (아동, 청소년은 1년 이상) 정기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만
- 우울할 때 다음 6가지 중 2가지 이상
-> 식욕부진 & 과식, 불면 or 수면과다, 활력의 저하 & 피로 or 자존감 저하, 집중력 or 의사결정 곤란, 절망감
다. 발병시기
- 조기(아동, 청소년기 · 성인기 초기)에 서서히~
라. 경과 및 예후
- 경과 : 다른 우울장애 비해 치료적 효과 낮음 & 만성화 / 자살생각 더 많음
- 예후 : 좋지않음 & 향후 주요 우울장애 노출 확률 높고,
주로 주요 우울 장애와 겹쳐서 치료 방문
3) 월경 전 불쾌 장애
- DSM-5에서 추가된 진단명
가. 핵심증상
- 우울증이 월경과 관련하여 나타남
- 월경 시작 전 주에 다양한 불쾌 증상 심각 -> 신체적, 감정적, 인지적
- 가임기 여성 : 70~80% 월경 전 증상으로 고통
나. 원인
- 월경 주기에 따라 여성호르몬(estrogen) 변화와 관련
-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
-> 세로토닌(serotonin) : 행복감 / 기분 & 식욕 & 수면 => 감소 가바(GABA) : 흥분억제 => 증가
=> 다양한 감정기복 증상
다. 주요증상
- 가. 월경 시작 1주일 전, 다음 증상 가운데 5가지 이상 (나, 다 총 11개 중 5개 이상 )
-> 월경 시작 후 수일 내 증상호전 / 월경 후 증상경미 or 없어져야 함
- 나. 다음 증상들 중 1가지 이상
① 뚜렷한 정서적 불안정
-> 갑자기 울고 싶어지거나 & 슬퍼지거나 거절에 대한 민감성 증가
② 현저한 과민성 · 분노· 대인관계 갈등 증가
③ 현저한 우울 기분 · 절망감 · 자기비하적 사고
④ 현저한 불안 · 긴장 · 안절부절한 느낌
- 다. 다음 증상들 중 1가지 이상
① 일상적 활동의 흥미 감소- 일 & 학교 & 친구 & 취미
② 주의집중 곤란
③ 무기력감 · 쉽게 피곤해짐 or 뚜렷한 활력 부족
④ 식욕의 뚜렷한 변화
⑤ 과다수면 or 불면
⑥ 압도되거나 통제력을 상실할 것만 같은 느낌
⑦ 신체적 증상
- 유방 압통 & 팽만감 & 관절통 & 근육통
더부룩한 느낌 또는 체중이 증가된 느낌
라. 경과 및 예후
- 경과 : 만성적 경향 & 월경 주기마다 증상 차이, 연령증가에 따라 증상 호전
- 예후 : 폐경 이후 증상 소멸
부산디지털대학교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건강사회복지의 개념 (0) | 2022.08.15 |
---|---|
우울장애의 하위 유형(2) (0) | 2022.07.14 |
우울증의 이해와 발생요인 (0) | 2022.07.14 |
조현병의 진단과 경과 및 치료 (0) | 2022.07.14 |
조현병의 역사와 진단기준 (0) | 2022.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