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현병의 역사
1) 고대
가. 그리스-로마시대
- 우울증 & 섬망 & 정신병 & 뇌전증에 대한 기록 존재
but, 현대적 개념의 조현병과 유사한 정신병 기록 없어 논란 있음
나. 여러 학자들의 조현병에 대한 정의
모렐(Morel, 1856) | 조발성 치매 라는 용어 처음 기술 - 노인성 치매와 달리 어린 나이에 발병 → 급격히 치매처럼 진행되는 정신병 |
카흘바움(kahlBaum, 1868) | 흥분 & 혼수상태가 특징인 긴장증(catatonia) 추가 |
헥커(Hecker, 1878) | 감정둔마 & 의욕상실을 주로 보이는 파과증(hebephrenia) 추가 ※ 파과기(사춘기) 에 주로 발병하기 때문에 이 이름 생김 |
레펠린(Kraepelin, 1896) | - 긴장증+ 파과증 + 망상치매(dementia paranoides)추가 - 모두가 조발성 치매의 아형으로 모두가 하나의 질병 - 외적인 원인 요인 발견되지 않고, 청소년기 발병 → 결국 인지기능 퇴화 & 행동기능 전반적 / 지속적 장애 발생 → 궁극적으로 인격의 황폐화 초래 |
브로일러(Bleuler, 1911) | - 조발성 치매가 뇌(기질성)의 병으로, - 핵심적 증상 : 인격 통합의 와해 & 관념연합(연상)이 이완이긴 하나, - 반드시 인격의 황폐화로 끝나는 병은 아니다 - 정신이 분열되는 병 (schizophrenia)로 개명 ※ 그리스 말 : 분열 (schizein) + 마음 (phren) |
쉬나이더(Schneider, 1959) | - 자아통합성의 장애가 정신분열병(조현병) 정신병리의 핵심이라 주장 - 11가지 1급 증상 진단기준으로 제안 |
다. 11가지 1급 증상 진단기준
① 사고반향 (자신의 생각이 크게 말해지는 소리를 들음)
② 환청과의 대화나 논쟁
③ 환자의 활동을 간섭하거나 논평하는 환청
④ 망상적 지각
⑤ 신체적 피동경험 (외부 힘에 의해 자신의 행동이 지배당하는 경험)
⑥ 사고투입 (외부 힘에 의해 자신에게 이질적인 사고가 주입되는 경험)
⑦ 사고철수 (외부 힘에 의해 자신의 사고가 빼앗기는 느낌)
⑧ 사고전파 (자신의 사고가 다른 사람에게 전파된다는 믿음)
⑨ 만들어진 감정 (외부의 힘에 의해 조정되는 감정의 경험)
⑩ 만들어진 충동 (외부의 힘에 의해 조정되는 충동의 경험)
⑪ 만들어진 수의적 행동 (외부의 힘에 의해 자신의 행동이 조정되는 경험)
2) 20세기 중반 이후
- 조현병의 진단기준 · 핵심증상
-> 학자간 or 학파간 차이, 시대에 따라 변화
※ DSM-5 : DSM-Ⅳ 조현병 하위유형 삭제
① 망상형 ② 긴장형 ③ 감별불능형 ④ 해체형 ⑤ 잔류형 -> 이후에도 진단기준 추가적 보완(개정) 예정
3) 현재
- 정신이 분열되었다?, 난치병, 불치병 -> 사회적 편견, 낙인 -> 조현병으로의 개명
- 2007년. 아름다운 동행(조현병 환자 & 가족협회), 대한정신분열병학회의 병명 변경요청 -> 정신분열병 병명 개명개정 위원회 결성
- 정신의학자, 환자 가족, 사회복지사, 변호사, 국어학자, 국어국문학회 자문 참조
- 2011년. ‘조현병’으로 개명. 거문고의 줄을 고르다, 뇌 신경망을 조율하다.
2. 조현병의 진단기준(DSM-5)
1) 조현병 진단에서의 용어의 정의
가. 전구기
- 조현병이 곧 시작될 것이라는 예고 신호
- ex) 학업 or 업무의 흥미상실 & 개인 위생관리 불량 & 이상한 복장 & 대화의 논리 부족 or 횡설수설 & 부적절한 행동이나 웃음 & 사회적 관계의 회피 or 고립 & 햇볕에 대해 지나치게 예민해 지는 것 등
나. 활성기
- 조현병 주요 진단기준 5가지 중 2개 이상의 증상이 1개월 이상 나타나는 것 의미
다. 잔류기
- 조현병의 활성기와 회복기(관해기) 사이의 과도기적 단계 의미
라. 회복기
- 조현병의 주요증상 완화 시기
2) DSM-5의 주요 진단기준
가. DSM-5 진단기준 A
- 다음의 증상 중 2개(또는 이상)가 있고, 그 각각이 1개월의 기간(성공적으로 치료가 되면 그 이하)동안의 상당 부분의 시간에 존재하고 이들 증상 중 하나는 1, 2 또는 3이어야 한다.
-> 1. 망상
2. 환각
3. 와해된 언어(예: 빈번한 탈선 혹은 지리멸렬)
4. 전반적으로 와해된 행동 또는 긴장된 행동
5. 음성증상(예: 감정의 둔마 혹은 무의욕증)
나. DSM-5 진단기준 B
- 장애가 발생한 이후로 상당 기간 동안 일, 대인간계, 자기 돌봄 등과 같은 영역 가운데 하나 또는 그 이상에서의 기능 수준이 발병 이전에 성취한 수준보다 현저히 낮다.
-> 아동기에 청소년기에 발병한 경우에는 대인관계, 학업, 직업에서의 기대되는 성취에 실패한다.
다. DSM-5 진단기준 C
- 발병의 계속적인 징후가 최소 6개월 이상이다.
- 그 6개월의 기간에는 최소한 1개월간(또는 성공적으로 치료받았을 경우는 그 이하) 진단기준 A(활성기 증상)에 맞는 증상이 있어야 하는데, 전구증상 또는 잔류증상들을 포함할 수 있다.
- 전구기 혹은 잔류기에는 장애의 증후들이 오로지 음성증상만으로 나타나거나, 혹은 진단기준 A에 열거된 증상 중 2개 이상이 약화된 형태
(예: 괴상한 믿음, 특이한 지각 경험)로 나타날 수 있다.
부산디지털대학교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울증의 이해와 발생요인 (0) | 2022.07.14 |
---|---|
조현병의 진단과 경과 및 치료 (0) | 2022.07.14 |
조현병 스펙트럼장애 (0) | 2022.07.14 |
우리나라 직업재활의 동향 (0) | 2022.07.14 |
직업재활의 저해요인과 단계 (0) | 2022.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