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현병의 이해와 원인
- 조현병 : 마음의 줄을 연주하다, 調 조절할 조 絃 줄 현
: 뇌의 기질적 장애로 인한 의식의 혼탁 징조 없이 다양한 정신 기능에 이상을 초래하는 정신병
1) 생물학적 모형
가. 뇌의 신경전달 물질의 변화
- 도파민 가설
나. 유전적 성향
- 가족연구 : 자녀의 조현병 발병 확률
-> 부모 모두 정상 < 부모 중 한명이 조현병 < 부모 모두 조현병
(1%) (8~18%) (35~45%)
- 쌍둥이 연구
-> 일란성 쌍둥이(50%), 이란성 쌍둥이(12~14%)
다. 뇌의 구조적 기능 이상
- MRI(자기공명촬영) : 뇌 특정부위 쪼그라짐
-> 사고 & 판단 장애 多
-> 음성증상 흔함 & 약물에 미반응
- PET(양전자 단층 촬영) : 뇌 특정부위 대사 저하
2) 심리사회적 모형
가. 정신분석학적 관점
- 자아(ego)의 심한 결함
-> 타인과의 갈등 & 좌절 : 적절히 방어하지 못해 정신병적 상태 =>조현병 발병
- 청소년기 집중 발생 이유 : 사춘기 -> 자아(ego)기능 확장 필요 시기
-> 많은 과업 & 갈등 경험 - 자아 미극복 : 자아붕괴
- 조현병 증상 : 상징성과 의미
-> ex) 과대망상 – 열등감 전치의 결과
환각 – 객관적 현실 대처할 능력 없어 외부로 투사한 결과
나. 학습이론
- 문제가진 부모 : 부적절한 모방
비이성적 반응 & 사고방식
다. 가족적 요인
- 역기능적 가족이 조현병 발병에 기여
- 1950년대 가설 : 의사소통에 중점. 비약 & 재발에 기여
- 이중구속 메시지 (double bind message)
-> 말과 행동이 다른 상황 ex) 싸우고 오지 마라~ 매맞고 오면~
- 과도한 정서적 표현 (high expression emotion)
-> 부정적 의사소통이 발병에 기여 ex) 비판 & 공격성 & 적개심
- 거짓상호성(거짓친밀성; pseudo mutuality)
-> 가족 갈등 숨기면서 겉으로는 친밀한 척 하는 의사소통
-> 산업화/도시화 => 가족 및 사회기능의 장애 => 조현병 발병
2. 조현병의 진단과 경과 및 치료
1) 조현병의 진단기준(DSM-5)
- 증상 : 망상, 환각, 긴장된 행동, 와해된 언어, 음성증상 -> 2개 이상의 증상
-> 1개월 간 증상 발생, 증상의 6개월 지속, 사회직업 기능 장애
2) 조현병의 경과 - 조기개입 / 재발방지
-> 약물치료 + 재활치료 병행 => 예후 결정 -> 조현병 ‘재발이 안되도록 막는 일’ 가장 중요
3) 조현병의 치료
가. 약물치료
- 도파민 과다 분비 : 항정신병 약물 -> 망상 & 환청 등 증상 완화
나. 약물치료의 재발율
약물 투여 집단 | 약물 미투여 집단 |
→ 1년 이내 재발률 : 14% → 약물투여 지속시 재발률 : 30~50% |
→ 1년 이내 재발율 : 55% → 약물 미투여 지속시 재발률 : 70% 이상 |
다. 정신사회재활
- 정상인과 더불어 지역사회내에서 살아갈 수 있는 기술 & 적응력 길러주는 약물치료를 제외한 모든 치료적 프로그램
- 정신병으로 인해 파괴된 개인의 기능 : 원래 상태로 복구를 돕는 치료과정
- 개인정신치료, 집단치료, 가족치료&가족교육, 환경요법, 낮병원 & 밤병원, 사회기술훈련 & 환자교육, 직업재활
부산디지털대학교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울장애의 하위 유형(1) (0) | 2022.07.14 |
---|---|
우울증의 이해와 발생요인 (0) | 2022.07.14 |
조현병의 역사와 진단기준 (0) | 2022.07.14 |
조현병 스펙트럼장애 (0) | 2022.07.14 |
우리나라 직업재활의 동향 (0) | 2022.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