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신건강영역에서의 팀 구성원
1) 정신의학자
가. 치료에 대한 종합적인 치료 전략 등
- 사회적, 법적으로 인정된 책임자
나. 생물학적 관점
- 병리학적, 발생학적, 해부학적, 생화학적 소인 등
다. 진단 & 약물치료 & 정신치료
2) 정신건강전문요원
가. 법적근거
- 정신건강복지법 제 17조 2항
나. 정신건강전문요원 업무의 범위 및 한계
고유업무 | 공통업무 | |
정신건강 사회복지사 | 1. 정신질환자에 대한 개인력조사 및 사회조사 2. 정신질환자와 그 가족에 대한 사회사업지도 및 방문지도 |
1. 정신재활시설의 운영 2. 정신질환자 등의 재활 훈련, 생활 훈련 및 작업 훈련의 실시 및 지도 3. 정신질환자와 그 가족의 권익 보장을 위한 활동지원 4. 진단 및 보호의 신청 - 자해 or 타해의 위험 의심 정신질환자 (지자체 단체장-44조 1항 & 경찰관-법 44조 2항) 5. 정신질환자 등에 대한 개인별 지원계획 의 수립 및 지원 6. 정신질환 예방 및 정신건강복지에 관한 조사·연구 7. 정신질환자 등의 사회적응 및 재활을 위한 활동 8. 정신건강증진사업 등의 사업 수행 및 교육 9. 그밖에 보건복지부 장관이 정하는 정신 건강증진활동 |
정신건강 간호사 | 1. 정신질환자 병력에 대한 자료수집, 병세에 대한 판단·분류 및 그에 따른 환자관리 활동 2. 정신질환자에 대한 간호 |
|
정신건강 임상심리사 | 1. 정신질환자에 대한 심리평가 2. 정신질환자와 그 가족에 대한 심리상담 |
2. 정신건강영역에서 팀워크의 이해
1) 팀워크의 개념과 필요성
가. 팀워크의 개념
- 2명 이상의 사람이 어떠한 목표를 공유해 함께 힘을 합해 활동하는 것
나. 팀워크의 필요성
- 정신장애의 발생요인 : 생물학적 요인 + 심리학적 요인 + 사회환경적 요인
=> 인간은 하나의 통합된 전체
- 각 전문가들의 전문적 기능과 책임 : 서로간의 상호작용, 숙련된 과정
=> 전체의 효율성 중시
=> 보다 나은 서비스 제공을 위한 공동활동
2) 팀워크의 진행과정(Germain, 1984)
가. 역할분리단계
- 협조 : 추상적, 이론적 수준. 머무는 단계
- 불안 & 경쟁 : 억제에 기여 & 비언어화
나. 과대평가와 실망단계
- 다른 성원들 지식 or 기술 과대평가 단계
- 각자 학문분야 고집 실망 & 분노
다. 현실적 평가단계
- 분담된 목표 성취에 다른 분야
- 성원들 기여 부분 점차적 인식
라. 조정단계
- 전문영역 간 차이 인정
- 의사소통 통해 만족스러운 조정
마. 역할의 통합단계
- 타 전문직에 대한 이해 & 존중 -> 협상 or 수용 (교육, 철학, 가치, 지식, 훈련 등)
부산디지털대학교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강의정리 : 김태준 교수 2021년 2학기 강의
'사회복지학 과목별 공부 > 정신건강 사회복지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정신건강사회복지의 발달 (0) | 2022.08.15 |
---|---|
서구 정신건강사회복지의 발달 (0) | 2022.08.15 |
정신건강사회복지의 정의 (0) | 2022.08.15 |
정신건강사회복지의 개념 (0) | 2022.08.15 |
우울장애의 하위 유형(2) (0) | 2022.07.14 |